소개글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의 현황
1.2. 우레탄 폼 화재 및 산업용 로봇 끼임 사고의 위험성
2. 우레탄 폼 화재 사례
2.1. 우레탄 폼 화재 현황과 특성
2.2. 우레탄 폼 화재 사례 분석
2.3. 우레탄 폼 화재 예방 대책
3. 산업용 로봇 끼임 사례
3.1. 산업용 로봇 피해 현황
3.2. 산업용 로봇 끼임 사례 분석
3.3. 산업용 로봇 안전 대책
4. 결론
4.1.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제언
4.2. 기술과 안전의 조화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의 현황
최근 산업 현장에 로봇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 사례가 늘고 있다. 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0년 사이 산업용 로봇으로 인해 총 355명의 재해자가 발생했고 그 중 29명이 사망했다. 산업용 로봇 산재의 약 95% 이상이 제조업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자동차 부품 제조업(39%)과 자동차 제조업(9%)에서 가장 많이 일어났다. 또한 산업용 로봇 사고의 주된 유형은 끼임(53%)과 부딪힘(34%)이었다. 이처럼 산업현장에서 로봇에 의한 중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작업 시 운전정지 미실시, 안전방책 내부 임의 출입 등 안전수칙 미준수와 더불어 로봇의 작동 원리와 위험요인에 대한 작업자의 이해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따라서 산업용 로봇의 보편화에 따른 안전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1.2. 우레탄 폼 화재 및 산업용 로봇 끼임 사고의 위험성
우레탄 폼 화재 및 산업용 로봇 끼임 사고의 위험성이다.
우레탄 폼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의 일종이며, 화재 발생 시 검은 연기를 내며 급격히 확산되어 진화가 어려운 특성이 있다. 또한 유독성 가스가 다량 발생하여 질식사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1,000℃ 이상의 용접 불티가 우레탄 폼 내부로 파고들어 서서히 연소되다가 급속히 확산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한편, 산업용 로봇은 제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작업자의 접근이 잦은 작업 환경과 불시 기동에 의한 위험이 상존한다. 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2011~2020년 사이 산업용 로봇으로 인한 재해자가 355명 발생했고, 이 중 29명이 사망했다. 재해 유형 중 끼임 사고가 가장 많은 53%를 차지했다. 최근 3년간(2020~2023.8) 사고사망자 10명 전원이 끼임 사고로 발생했다.
이렇듯 우레탄 폼 화재와 산업용 로봇 끼임 사고는 재해 발생 시 사상자가 다수 발생하고 피해가 심각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철저한 예방대책 마련과 함께 안전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2. 우레탄 폼 화재 사례
2.1. 우레탄 폼 화재 현황과 특성
우레탄폼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의 한 종류로, 단열재 등을 포함한다. 우레탄폼의 화재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1998년 10월, 2007년 3월, 2008년 8월, 2012년 8월, 2017년 2월과 12월, 2018년 6월, 2019년 3월, 2020년 4월 등에 우레탄폼이 착화되어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다. 우레탄폼 화재 시 화재의 진화가 어렵고, 급격한 화재 발생, 유해가스 발생으로 인한 질식사 등의 위험성이 있다. 우레탄폼은 열분해 단계에서 서서히 진행되지만, 충분한 에너지를 얻어 연소 활성화 단계를 거치면 연료나 산소가 고갈될 때까...
참고 자료
안전보건공단. www.kosha.or.kr
김기현,「안성 동성화인텍 화재 15시간여 만에 ‘완진’...7명 대피」,『뉴스1』,2024년 4월 24일. https://www.news1.kr/articles/5394905
최석환,「현대모비스 창원공장서 끼임사고 당한 50대, 결국 숨졌다」,『경남도민일보』,2023년 12월 13일.
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41410
이승우. "컴퓨터의 발달과 토목공학." 대한토목학회지 64.3 (2016): 32-33.
김선우. "해외 토목 및 플랜트 프로젝트에서 컴퓨터 기반 기술의 효과적인 활용." 대한토목학회지 67.7 (2019): 22-29.
고현무. "토목공학, 미래의 도전." 지식의 지평 14 (2013): 239-257.
배두병. "4 차 산업혁명과 토목." 대한토목학회지 64.9 (2016): 8-9.
김대건, and 김복규. "고층건물 외벽 유지보수를 위한 건설로봇 시스템 개발."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0.2 (2010): 7-10.
PureRobotics 홈페이지
헤럴드경제 2020.06.28 기사 ‘끊이질 않는 타워크레인 사고...안전수칙 위반 제자결함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