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유토피아 개요
'유토피아'는 토마스 모어가 작성한 소설로, 이상적인 사회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유토피아는 16세기 당시 영국사회의 타락한 모습을 풍자하며, 구성원 모두를 행복하게 만드는 대안적 국가 모델을 소개한다. 소설은 1부와 2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서는 토마스 모어와 라파엘이 대화를 통해 당시 유럽의 부패와 모순을 비판하고, 2부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유토피아 국가의 특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유토피아 국가는 54개의 마을로 구성된 초승달 모양의 섬으로, 동일한 언어와 문화, 법과 제도를 운영하며 주민들에 의해 선출된 지도자가 통치한다. 유토피아에서는 사유재산이 인정되지 않고 모든 것이 공공 소유이며,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고 하루 6시간의 노동과 8시간의 수면, 그 외 시간은 정신적 활동에 할애하는 생활 방식이 특징이다. 또한 일부일처제, 무료 의료 등 평등한 복지 제도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거주 이전의 자유가 제한되어 있고, 인구 초과 시 식민지로의 강제 이주 등 다소 강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유토피아는 평화를 지향하지만 필요 시 엄정한 군사력도 동원한다. 이처럼 유토피아는 이상향의 면모와 더불어 현실 세계의 한계와 문제점을 아울러 보여주고 있다. []
1.2. 토마스 모어의 작품 소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는 가상의 인물인 라파엘과 저자인 토마스 모어의 대화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작품이다. 토마스 모어가 가상의 인물을 등장시킨 이유는 책의 많은 내용에서 중세 영국 사회를 비판하기 때문이다. 토마스 모어 자신이 직접 말하기보다는 라파엘을 통해 비판하는 것이 더 적합했기 때문이다. 「유토피아」는 1부와 2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서는 당시 유럽에 만연했던 부패와 모순을 풍자적으로 비판하고 있으며, 2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유토피아'라는 이상적인 국가를 제시하고 라파엘이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토마스 모어는 이 작품을 통해 당시 영국 사회의 타락한 모습을 비판하고, 구성원 모두를 행복하게 만드는 이상향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사회 질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2. 유토피아 분석
2.1. 유토피아 줄거리
토마스 모어는 가상의 인물인 라파엘을 통해 당시 유럽 사회의 부패와 모순을 비판한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 사회는 농노제와 같은 봉건 질서가 무너지고 절대 군주제가 등장하는 변혁의 시기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지배 계급의 부정부패로 인해 대다수 농민들의 삶은 피폐해져 갔고, 이들은 범죄를 저지르거나 도시로 가서 빈민이 되어야만 했다.
이에 토마스 모어는 바람직한 이상 사회인 '유토피아'를 제시한다. 유토피아는 54개의 마을로 이루어진 초승달 모양의 섬으로, 동일한 언어와 문화, 법과 제도를 가지고 있다. 유토피아 사회에서는 사유 재산이 인정되지 않고 모든 것이 공공의 소유이며, 누구나 하루 6시간 노동과 8시간 수면을 보장받는다. 나머지 시간은 신앙생활이나 독서 등의 정신적 활동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부일처제와 무료 의료 시설 등 복지 제도를 운영하여 모든 구성원이 평등한 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
마을의 지도자는 주민들에 의해 선출되며, 거주지 이전의 자유도 제한되어 있다. 인구가 초과되면 식민지로 분산시키고, 침략 전쟁에는 반대하지만 침입자에 대해서는 용병을 통해 철저히 응징한다. 이처럼 유토피아는 당시 영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구상된 이상적인 나라라고 할 수 있다.
2.2. 유토피아 사회 제도
유토피아는 사유재산이 인정되지 않는 사회이다. 모든 것은 공공의 소유이며, 개인의 사적 재산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화폐도 사용되지 않고, 공동창고에 모든 물품이 비축되어 있어 개인의 결핍을 염려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