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전도의 이해
1.1. 심전도의 기초
1.1.1. 심전도의 정의
심전도는 심방과 심실의 탈분극과 재분극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누운 상태에서 양쪽의 손목, 발목, 가슴에 부착한 6개의 전극을 통해 얻은 신호를 그래프 형태로 기록한 것으로,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이다. 표준 12유도 심전도는 3개의 양극유도와 3개의 단극유도로, 6개의 흉부유도를 합하여 12개의 심전도를 통합해서 기록한 것이다.
1.1.2. 심전도 검사의 목적
심전도 검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흉통의 원인을 규명하고, 피곤, 숨참, 어지러움, 실신과 같은 증상 및 징후를 평가한다. 또한 불규칙한 박동을 규명하며, 수술이나 시술 전 심장을 평가한다. 이식된 pacemaker의 기능을 확인하고, 심장 약물의 효과를 규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장기능과 박동 추적을 위해 활용된다.
심전도는 심방과 심실의 탈분극과 재분극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전기적 흥분이 일어나는 형태와 전달되는 형태, 그리고 심근의 상태를 알 수 있다. 특히 심장의 전기적 흥분 상태와 리듬, 심장 근육의 기능장애 등을 평가할 수 있어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 방법이다.
심전도 검사는 표준 12유도로 구성된다. 이는 3개의 양극 사지유도와 3개의 단극 사지유도, 그리고 6개의 흉부유도로 이루어져 있다. 각 유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다양한 각도에서 기록하여 심장 전체의 전기적 활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사지유도는 심장의 전기축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흉부유도는 심장의 수평면 활동을 보여준다.
심전도 검사는 전극을 몸 각 부위에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손목, 발목, 가슴 등에 부착한 전극으로부터 얻은 신호를 그래프 형태로 기록하여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확인한다. 검사 전 피부 처리와 전극 부착 등 정확한 측정을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대상자의 상태와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심전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종합적으로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비침습적으로 측정하여 심장 기능 및 상태를 평가하는 핵심적인 진단 도구이다. 임상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특히 부정맥, 심근경색 등 심장 질환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라고 할 수 있다. []
1.1.3. 표준 12유도 심전도의 구성요소
표준 12유도 심전도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표준 12유도 심전도는 6개의 사지유도와 6개의 흉부유도로 이루어져 있다. 사지유도는 양극 사지유도와 단극 사지유도로 구성된다. 양극 사지유도는 유도 I, II, III로, 양팔과 왼쪽 다리의 전극을 각각 음극과 양극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유도 I은 우측 팔(음극)과 좌측 팔(양극)의 전위차를, 유도 II는 우측 팔(음극)과 좌측 다리(양극)의 전위차를, 유도 III은 좌측 팔(음극)과 좌측 다리(양극)의 전위차를 나타낸다. 우측다리의 전극은 접지 역할을 한다.
단극 사지유도는 여러 전극에서 기록된 전기 합을 평균한 가상의 중앙단자를 음극으로 하고 양측 팔과 다리를 양극으로 하는 유도이다. 유도 aVR은 좌측 팔과 좌측 다리 전극의 중앙단자(음극)와 우측 팔 전극(양극)의 전위차를, 유도 aVL은 우측 팔과 좌측 다리 전극의 중앙단자(음극)와 좌측 팔 전극(양극)의 전위차를, 유도 aVF는 양측 팔 전극의 중앙단자(음극)와 좌측 다리 전극(양극)의 전위차를 나타낸다.
흉부유도는 V1에서 V6까지 총 6개이며, 양팔과 좌측 다리의 중앙단자(음극)와 흉부에 장착된 전극(양극)의 전위차를 나타낸다. V1은 제4늑간의 우측 흉골연, V2는 제4늑간의 좌측 흉골연, V3는 V2와 V4의 중간부위, V4는 제5늑간과 좌측 쇄골중앙선이 만나는 부위, V5는 V4와 수평이 되는 전액와선 부위, V6는 V4와 수평이 되는 중앙액와선 부위에 각각 설치된다. 이를 통해 심장의 수평면 심전도를 기록할 수 있다.
1.2. 심장의 전기적 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