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 간호진단 및 계획
1.1. 지역진단 자료 분석
남동구의 지역진단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동구의 노령화지수는 2008년 39.68%에서 2010년 46.0%로 증가하였다. 또한 유소년인구는 2008년 80,836명에서 2010년 79,141명으로 감소하였으며, 65세 이상 인구는 2008년 32,077명에서 2010년 36,405명으로 늘어났다. 이는 남동구의 인구구조가 점차 고령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남동구의 성인 흡연율은 2010년 25.1%에서 2011년 28.0%로 상승하였으나, 전국 및 인천 평균 성인 흡연율은 같은 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또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률을 보면 건강교실 이용률이 11.5%에 불과하여 낮은 편이다.""
반면 남동구의 음주율은 2010년 60%에서 2011년 62%로 증가하여 전국 및 인천 평균보다 높은 편이며, 특히 구월동 등 상업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 주류를 판매하는 음식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볼 때, 남동구 주민들의 건강행태 중 흡연과 음주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며, 이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저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1.2. 간호진단 및 관련요인
남동구의 간호진단 및 관련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령화 지수가 증가하고 있다. 2008년 노령화지수가 39.68%에서 2010년 46.001%로 상승하였다. 또한 유소년 인구는 감소하고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증가하였다. 이는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의미하며, 노인 인구의 건강문제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성인 흡연율이 증가하고 있다. 전국 및 인천의 흡연율은 감소하였으나 남동구의 성인 흡연율은 2010년 25.1%에서 2011년 28.0%로 상승하였다. 이는 흡연에 따른 건강 문제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음주율이 증가하고 있다. 인천과 남동구의 성인 음주율이 2010년부터 2011년 사이에 각각 59%에서 61%, 60%에서 62%로 상승하였다. 이는 음주 관련 건강 문제 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보건의료서비스 이용률이 낮다. 남동구의 건강교실 이용률은 11.5%에 불과하며 흡연 관련 보건서비스 이용률도 낮은 수준이다. 이는 주민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과 실천도가 저조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간호진단 및 관련요인을 종합해볼 때, 남동구는 급격한 고령화, 흡연율과 음주율 증가, 그리고 낮은 건강관리서비스 이용률 등 다양한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보건사업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3. 문제해결을 위한 보건사업 선정
문제해결을 위한 보건사업 선정은 BPRS기준의 문제의 종류, 해결가능성, 예방가능성, 문제인식의 차등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건사업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3가지 간호진단 중 흡연 문제를 1순위로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흡연이 문제의 종류나 예방가능성, 문제인식의 차등성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흡연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금연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1.4. 목표 설정
일반적 목표는 "201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남동구 흡연율을 3% 감소시킨다"이다. 구체적 목표로는 첫째, 2014년 12월 31일까지 청소년은 금연의 유익성을 말할 수 있다. 둘째, 2014년 12월 31일까지 금연 교실 등록자 수가 전년도 대비 30% 이상 증가한다. 셋째, 2014년 12월 31일까지 금연 교실 등록자 중 금연 성공률은 70% 이상을 달성한다. 넷째, 2014년 12월 31일까지 금연 자조 모임 대상자 중 금연 졸업장 취득률이 80% 이상을 달성한다. 다섯째, 2014년 12월 31일까지 금연정책을 수립하여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2014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