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고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로고스(logos)의 개념과 정의
1.1. 로고스(logos)의 사전적 정의
1.2. 로고스에 대한 철학적 정의
1.3. 로고스에 대한 종교적 정의
2. 로고스(logos)의 역할과 중요성
2.1. 학문 발전의 기반으로서 로고스
2.2. 사회생활에 반영된 로고스
2.3. 인간의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로고스
3.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를 활용한 설득 기법
3.1. 에토스(ethos)의 정의와 광고 사례
3.2. 파토스(pathos)의 정의와 광고 사례
3.3. 로고스(logos)의 정의와 광고 사례
4. 설득 기법의 실제 활용과 효과
4.1. 설득 기법 활용의 중요성
4.2.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의 융합적 활용
4.3. 성공적인 설득을 위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로고스(logos)의 개념과 정의
1.1. 로고스(logos)의 사전적 정의
로고스(logos)의 첫 번째 뜻은 '말, 글'이다. 이 뜻은 언론을 중시하였던 고대 사람들의 특징에서부터 나온 뜻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수사학(修辭學)이 발생하였다. 두 번째 뜻은 '법칙, 원리'이다. 모든 것이 변화하고 생성되는 세계에 우린 살고 있다. 로고스(logos)는 그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는 조화의 원리이며 법칙이기 때문에 '법칙, 원리'라는 뜻이 생겼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사유를 가능케 하는 '이성'이라는 뜻이 있다.
1.2. 로고스에 대한 철학적 정의
헤라클레이토스는 로고스라는 개념을 자신의 고유한 생각을 책에 '언어'로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가 쓴 책에는 전체 세계가 어떤 감추어진 질서를 통해 구조화되는지가 설명되어 있었으며, 이로써 헤라클레이토스의 로고스는 바로 이 질서 안의 지배적인 법칙을 가리킨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로고스를 모든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이는 곧 이성을 의미한다. 그는 인간을 이성을 가진 실천적 존재로 보았으며, 인간의 기능을 '이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스토아 철학에서는 로고스를 자연으로 인식하였다. 즉, 만물은 운행하는 원리이며 그 원리는 신적인 의미로 발달되어 범신론적인 의미를 띠게 되었다. 모든 것은 로고스의 법칙에 의해 운행되며, 인간은 그 법칙 안에서 편하게 살 수 있다.
1.3. 로고스에 대한 종교적 정의
요한복음에서의 로고스는 성육신한 예수를 말한다. 태초에 말씀(로고스)이 있었고, 그 로고스가 곧 하나님이며, 로고스가 육신이 되었다는 것이 요한복음의 주제이다. 요한은 로고스를 신적인 존재이며, 그가 곧 신이며, 그가 곧 육신으로 온 예수임을 말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끝을 맺는다. 요한복음 1장 1절은 "태초에 말씀(로고스)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로고스)은 곧 하나님이시니라"이며, 1장 2절은 "그(로고스)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1장 3절은 "만물이 그(로고스)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이다. 또한 1장 14절은 "말씀(로고스)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이다. 20장 30-31절에서는 예수께서 제자들 앞에서 많은 표적을 행하셨으나 이것들을 기록함은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라고 하였다. 요컨대 요한복음에서 로고스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그의 육신이 되심을 의미하는 것이다.
2. 로고스(logos)의 역할과 중요성
2.1. 학문 발전의 기반으로서 로고스
모든 학문은 논리학이 기반이 되어 발전해왔다. 논리학은 로고스(logos)에서 비롯되었으며, 모든 학문의 토대가 되고 있다. 우리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은 논리는 사유의 기본이 되는 이성(logos)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이 생각을 하고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로고스 덕분이다. 언어로 표현되는 로고스는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는 조화의 원리이자 법칙이다.
로고스에 대한 철학적 정의를 살펴보면, 헤라클레이토스는 로고스를 '언어'로 보았...
참고 자료
클라우스 헬트, 지중해 철학기행 : 모든 길은 플라톤으로 통한다, 효형출판, 2007.07.31
<블링크>, 말콤글래드웰, 김영사, 2020
카멜레온 효과, <닮은 사람에게 끌리는 이유는?>, 세상의 모든 법칙, EBS
<공포 소구 광고>, <광고전략>, 이명천·김요한, 커뮤니케이션북스
<부모 '죄책감' 들게 하는 육아 마케팅, 이대로 괜찮을까?>, 김영준, 오마이뉴스, 20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