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계간호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간호의 역사
2.1. 조선시대 간호
2.2. 개항기와 구한말의 간호
2.3. 일제강점기의 간호
2.4. 해방 직후부터 정부수립기까지의 간호
2.5. 한국전쟁과 전후 복구기의 간호
3. 성장기의 간호
3.1. 간호제도의 변화
3.2. 간호교육
3.3. 간호실무
3.4. 전문단체활동
3.5. 독립운동
4. 발전기의 간호
5. 세계간호의 역사
5.1. 고대의 간호역사
5.1.1. 바빌로니아
5.1.2. 고대 이집트
5.1.3. 고대 히브리인
5.1.4. 고대 중국
5.1.5. 고대 인도
5.1.6. 고대 그리스
5.1.7. 고대 로마
5.2. 중세 전반기 역사와 간호
5.3. 중세 후반기 역사와 간호
5.4. 근대역사와 간호
5.5. 현대의 간호역사
5.5.1. 영국의 간호
5.5.2. 미국의 간호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역사 학습의 필요성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간호는 자가간호, 가족간호, 종교적 간호, 직업적 간호의 발달과정을 거쳐 모든 사람들의 건강증진과 복지사회의 건설로 집약되는 현대 전문직 간호에 이르렀다. 간호의 본질은 간호하는 자와 간호를 받는 자 사이에 필요한 보살핌과 도움을 주고받는 것이며, 간호의 역사는 서로를 위로하고 살아온 모든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간호역사는 일반 역사에 기초한 간호사업의 과거와 인류에 대한 봉사를 살펴보는 것이다. 세계사적 사건들과 변화들이 간호사업에 미친 영향과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간호사업의 위치와 가치, 간호지도자들의 대처와 사상, 활동이 각 시대의 변화에 기여한 바를 알아보는 것은 오늘날의 간호문제 해결과 미래의 간호사업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 한국간호의 역사
2.1. 조선시대 간호
태종 때 의녀제도가 처음 창설되었다. 의녀제도는 남녀유별의 도를 실천하고 당시 시대의 학문인 성리학의 가르침에 충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체계적이고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당시 조선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직업여성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동의보감이 완성되고 중국사절단에 의해 서양 학술이 도입되면서 우리 의학 및 돌봄의 전통적 지견에 변화가 일어났다. 태조 원년에는 전의감, 혜민국, 동서대비원을 설치하였고 나중에 제생원으로 신설되어 1405년에는 4개 기관이 있었다. 제생원은 태종 6년에 최초로 의녀를 양성한 기관이다. 의녀는 모두 한양의 관비였고 활동 역시 한양에 주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지방의 부녀자는 의녀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없었다.
조선은 주자학의 영향으로 남녀의 구별이 엄격해지면서 기존의 남자 의원에게 여성들이 진료받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여성의 자유를 억제하여 사회활동을 중단시키고 칠거지악, 삼충지의 등을 강요했다. 새로운 여성 의료인을 양성화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조선왕조가 의녀제도를 창설하면서 천인을 뽑았던 이유는 당시 여성들의 바깥출입이 어려웠기 때문이며, 관비는 국가소유이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 선발할 수 있었고, 남성의원으로부터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는 점, 국가 어느 곳이든 파견을 보낼 수 있었다는 점, 일정 수준이상의 실력을 쌓으면 그만둘 수 없도록 국가에서 규제할 수 있었다는 점 등이다. 이에 선발된 인원은 제생원에서 교육을 담당하였다.
의녀는 대개 의원의 보조자로서 활동하였기 때문에 의학의 전 분야에 정통하게 되는 것보다는 한두 가지의 능력이라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 사대부들의 생각이었다. 의녀들도 능력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진맥과 침술, 산과와 부인과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였다.
그러나 연산군 대에 이르러 의녀제도는 변화한다. 주연회의 가무에 참가하거나 의술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유배 중인 죄인에게 찾아가 사약하고 신체조사를 하는 업무, 상처나 시체를 조사하는 업무, 글자를 가르치는 등의 일을 수행하게 되었다. 국가에서는 의녀에게 자식은 양인은 양인이 되도록 하였으며, 다른 관비와 달리 치장을 허용하고 매월 급여 외에도 복호, 급복, 봉족 등의 특전을 제공하였다.
2.2. 개항기와 구한말의 간호
고종 14년(1877)에 일본해군이 부산에 제생의원을 설치하였다. 이 병원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서양의학에 의한 병원이었으며, 고종 33년(1896)에 공립병원으로 사용되다가 청일전쟁의 발발로 병참병원으로 사용되었다. 고종 17년(1880)에는 원산 생생병원이 설치되었다. 고종 21년(1884)에 설립된 영사관 부속병원은 고종 25년(1888)에 인천공립병원이 되었으며 청일전쟁이 벌어지며 인천병참병원으로 개칭되었다. 고종 34년(1897)에는 공립병원이 설치되었다. 제중원은 개원 1년 여 동안 외래 환자와 왕진환자의 합수가 만여 명에 달하였다. 1886년에는 북장로교회의 엘러스가 부인부를 담당하며 왕비 및 왕실부인들의 진료를 맡았다. 제중원에서 선발된 학생들은 병원에서 환자의 간병인과 함께 환자를 간호하였다. 그러던 중 알렌은 의녀제도의 전통을 이어 여성의료인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이 밖에도 개항기의 서양인 선교 간호사는 최초의 선교간호사인 에밀리 히트코트, 성 마태병원에서 근무한 웹스터, 장로교 해외 선교부에서 파송된 첫 간호사 제콥슨, 한국의 나이팅게일이었던 쉬일즈, 세브란스 간호사 양성소 소장이었던 로렌스 등이 있다. 고종 32년(1895) 경성을 비롯한 각 지방에서 콜레라가 대유행하여 처음으로 전염병에 대한 법령이 반포되었다. 고종 36년(1899) 외래중심의 내부병원(이듬해 광제원으로 개칭)이 설립되었다. 따로 입원실을 마련하지 않은 대신 피병원을 세우도록 하였지만 1902년 다시 전국적으로 콜레라가 유행하면서 광제원은 콜레라 방역을 위한 기관으로 변신하였다. 통감부 설치 후 광제원의 일본인 의료인력이 증가되면서 병원의 성격도 서양의술 중심의 기관으로 바뀌었다. 이비인후과, 일반외과, 안과, 부인과 등이 개설되었으며 입원과 수술도 시행되었다. 따라서 전문 간호업무 기술을 다루는 일본 간호부 3명도 근무하게 되었다. 1905년에는 상병자를 구호하기 위해 대한적십자사가 설립되었다. 이는 곧 부상자와 병자를 구호하기에 전력을 다하는 것으로 개정되었으며 1907년 대한의원이 개원하며 합병되었다. 대한의원은 개원 당시부터 산파와 간호부를 두어 대한제국의 자주적 의료 근대화 사업의 성과라고 불린다.
2.3. 일제강점기의 간호
일제강점기에는 간호제도의 변화, 간호교육, 간호실무, 전문단체활동, 간호사의 독립운동 등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먼저, 간호제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14년에 간호인력의 자격과 면허를 규정한 우리나라 최초의 간호 단독 규칙인 간호부규칙이 제정되었다. 이는 1922년에 개정되어 간호사 면허 자격 강화와 간호업무에 대한 규정이 추가되었다. 이후 1931년에는 조선 간호부규칙과 조선 산파규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4년에는 조선 의료령과 조선 의료령 시행규칙이 제정되어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보건간호사, 산파, 간호부 등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사항이 규정되었다.
간호교육에서는 1911년 조선총독부의원 부속의학강습소 규칙이 공포되면서 관립 간호교육이 시작되었다. 1912년에는 한국인 여성에 국한되었던 교육이 한국인과 일본인, 남녀를 불문하는 것으로 개정되었다. 1917년에는 일본적십자사 조선본부 간호부 양성규정이 반포되어 적십자 간호교육이 시작되었다. 1920년대 들어 간호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자 조선총독부는 사립 간호학교에서도 일정 수준을 충족하면 졸업생의 무시험 면허 취득을 허용하였다.
간호실무 면에서 일제강점기의 병원간호는 독일의 영향을 받은 일본식 간호와 선교사에 의해 주도된 선교계 간호로 구분되었다. 선교계의 경우 1924년 선교간호사 로센버거가 동대문 부인병원 간호학교 졸업생과 함께 가정방문 보건사업을 시작하는 등 발전을 이루었다.
전문단체활동으로는 1923년 조직된 조선간호부회를 들 수 있다. 이 단체는 보건교육, 보육사업, 간호사 구직알선 등의 활동을 펼쳤다. 또한 국제간호협의회(ICN)에 가입하고자 하였으나 일본제국간호부회의 산하단체로 편입되었다.
한편 일제강점기의 간호사와 산파들은 3·1만세운동, 군자금 모집, 임시정부 지원, 노동여성운동, 비밀첩보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대한민국애국부인회와 같은 여성단체에 다수 간호부가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의 간호는 법제도, 교육, 실무, 단체 활동, 독립운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발전과 변화를 겪었다.
2.4. 해방 직후부터 정부수립기까지의 간호
미군정은 보건행정의 전문화와 확대를 위해 경무청 위생과를 보건후생국으로 승격시켰다. 1945년에는 보건후생부로 개편되었으며 그 산하에는 간호사업국, 의무국, 예방의학국, 약무국, 후생국, 위생국 등이 신설되었으나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출범하면서 간호사업과로 격하되었다. 또한 국방예산 증액 등의 이유로 보건후생부가 사회부의 산하로 들어가면서 간호행정조직은 계 단위조직으로 축소되었다.
당시 간호사와 조산사의 자격시험은 검정고시에 의한 면허 취득 제도였다. 간호업무의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으로 1962년 의료법이 개정됨과 동시에 완전히 폐지되었다.
1946년 보건후생부는 기존 병원부속의 간호부양성소 제도를 폐지하고 군정기 학제에 의한 고등간호학교로 개편하였다. 최소 중학 4년을 졸업한자가 입학할 수 있었으며 교육 연한은 3년으로 통일하였다. 1957년 전국 간호교육기관이 문교부 소속으로 이전되었으며, 1948년에는 세브란스병원에서 간호사 교장제 실시와 간호교육에 조산사 과정을 포함하여 교육시켰다.
2.5. 한국전쟁과 전후 복구기의 간호
한국전쟁 초기에는 육군병원 5개와 정양병원 1개만이 있었으나, 전쟁 중에 육군병원이 10개로, 정...
참고 자료
이미숙, 2012, 조선시대 의녀의 역할, 한국사상과 문화 no.61
옥성득, 2012, 초기 개신교 간호와 간호교육의 정체성, 한국기독교역사학회
정은영, 2021, 일제강점기 간호학의 보급과 간호사 양성 정책,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12 no.7
고대 바빌로니아와 이집트의 과학과 기술, 2009. 12. 3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4145&cid=42365&categoryId=42365
고대이집트, 2015.10.15,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4921&cid=58251&categoryId=58251
모세, 2001.09.1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89979&cid=41875&categoryId=41875
고대 중국, 2015.10.1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4929&cid=58251&categoryId=58251
고대중국의학, 2006.04.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11974&cid=51085&categoryId=51085
고대 인도, 2015.10.1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4926&cid=58251&categoryId=58251&expCategoryId=58251
강선주 외, [동서고금 의술이야기] 인도 전통의학 '아유르베다', 2018.10.12, http://www.newsroa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56
그리스 자연철학과 과학의 태동, 2009.12.3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4146&cid=42365&categoryId=42365
장미성, 2018, 정신 질병의 탄생: 고대 그리스 의학적 시선의 철학적 기원, 철학연구, 121, 1-24.
고대 로마 시대의 그리스 의학, 2006.04.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11983&cid=51085&categoryId=51085
마르셀라, 1996.03.0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3588&cid=60408&categoryId=55558
파비올라, 1996.03.0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3698&cid=60408&categoryId=55558
파울라, 1996.03.0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3700&cid=60408&categoryId=55558
‘수도원 의학’ 시대, 2006. 4. 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11992&cid=51085&categoryId=51085
카시오도루스, 1998.08.2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32592&cid=50766&categoryId=50794
십자군, 1998.08.2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30156&cid=50766&categoryId=50794
박연식, 1996, 중세 수도원 공동체의 영성에 관한 고찰 - 12 , 13세기를 중심으로
문희자, 1980, 나이팅게일과 업적, 대한간호 Vol.19 No.3
한윤복, 1980, 나이팅게일과 간호, 대한간호 Vol.19 No.3
최순옥, 1999, 여성의 지위에 따른 간호사의 위상 변화 II -중세 이후부터 근대 후기까지, 대한간호학회지 v.29 n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