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수함수를 통한 약물의 혈중농도 분석
1.1. 주제 선정 동기
수학1 자유과제3에서 지수함수의 활용문제를 만들었을 때 나의 진로분야인 약학과 관련된 수학 공식을 찾아보다가 지수함수를 이용한 약물의 혈중 농도 공식을 알게 되었고, 이를 사용해서 타이레놀의 흡수에 관한 문제를 만들고 변형했었다. 당시 내용을 조사할 때보다 좀 더 자세하게 비교하고 싶어서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약물의 혈중농도 그래프
약물의 혈중농도 그래프, 즉 혈액 속에 있는 약의 성분의 농도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약물의 농도로 표현된다. 약물을 섭취한 후 약물의 최고 혈중농도를 Cmax로 표현하며, 최고 혈중농도 도달시간을 Tmax로 말한다. 이때 그래프의 아래쪽 면적을 AUC라고 칭하며, 그것이 클수록 몸속에서 약이 많이 이용되었다고 판단한다. 의약품이 약효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혈액 속에서 어느 농도 이상, 즉 AUC가 차지하는 면적이 어느정도 이상을 유지해야한다. 이때 의약품이 체내에 들어가면 농도가 Cmax이후 서서히 낮아지기 시작하며 처음 농도에 비해 농도가 절반으로 줄어들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약물의 반감기라 한다. 약물의 반감기는 고유한 성질로, 항상 일정하다.
1.3. 약물의 혈중농도 공식 예시
혈중 농도의 공식에는 지수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혈중 농도의 반감기가 6시간인 약을 먹었을 때 초기 혈중 농도가 200(㎍/mL)일 경우, 12시간 후의 혈중농도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반감기가 6시간이므로 반감기일 때의 상태를 식에 적용해보면 t는 6, 혈중 농도는 최고 농도의 절반이므로 C=100 이다. 이 식을 다시 대입하면 100=200 TIMES e ^{-6k} 이다. 따라서 12시간 후의 혈중 농도는 C=200 TIMES ( {1} over {2} ) ^{2} =50(㎍/mL)이다. 이 약의 경우, 약을 먹고 12시간이 지나면 혈중 농도가 최초 농도의 1/4 이 되는 것이다.
1.4. 타이레놀 약물의 혈중농도 공식 적용
타이레놀 기본형 약물의 반감기는 4시간이며, 초기 혈중농도 Cmax값이 200(㎍/mL)이라고 가정한다.
4시간 후 혈중농도가 최초 농도의 절반인 100(㎍/mL)이 되므로, 지수함수 공식에 대입하면 e^(-4k) = 1/2이 된다.
따라서 k = 0.1736으로 계산된다.
이를 바탕으로 12시간 후의 혈중농도는 C = 200 * (1/2)^2 = 50(㎍/mL)이 된다.
즉, 타이레놀 기본형 약물은 약을 먹고 12시간이 지나면 혈중농도가 최초 농도의 1/4 수준이 되는 것이다.
타이레놀 이알형 약물의 경우 반감기가 8시간이므로,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8시간 후 혈중농도가 최초 농도의 절반인 100(㎍/mL)이 되므로 e^(-8k) = 1/2가 된다.
따라서 k = 0.0867로 계산된다.
이를 바탕으로 12시간 후의 혈중농도는 C = 200 * (1/2)^(12/8) = 100(㎍/mL)이 된다.
즉, 타이레놀 이알형 약물은 약을 먹고 12시간이 지나도 혈중농도가 최초 농도의 절반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타이레놀 기본형과 이알형의 경우 동일한 성분이지만 서로 다른 제형 특성으로 인해 약물의 흡수 및 혈중농도 유지 시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타이레놀 이알형은 지속적인 약효를 위해 장시간 서방방출 구조로 되어 있어, 4시간 효과가 지속되는 기본형보다 반감기와 혈중농도 유지 시간이 더 길다.
이처럼 약물의 효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인 혈중농도를 지수함수 공식을 통해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정한 용량과 복용 시간을 처방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약물 효과를 제공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