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학과 문제
1.1. 영양 문제와 간호
1.1.1. 영양과 흡수 문제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의식적으로 음식물 섭취를 제한하여 이상적인 체중보다 12~25% 체중감소가 있는 질환이다. 문화적, 사회적, 가족적, 생리적 요인 등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체조선수나 발레리나와 같이 적은 체중이 요구되는 직종에서 발병률이 증가한다. 환자들은 체중감소, 무월경, 악액질, 변비, 털이 가늘어짐, 건조하고 거친 피부, 서맥, 과다활동, 저체온, 저혈압 등의 증상을 보이며, 하루 600kcal 이하만을 섭취하는 특징이 있다. 신경성 식욕항진증은 강박적으로 먹으며 의도적으로 구토를 유도하는 다른 형태의 영양 장애로서, 불안, 분노, 권태 등의 심리·정서적 요인이 발생한 후 과도한 폭식 행동이 나타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두 질환에 대한 치료로는 영양상태 증진, 정신요법 및 행동수정 프로그램 제공, 약물요법 등의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2]
비만은 지방세포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상태로, 성별과 키에 맞는 이상 체중보다 2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비만의 원인은 대부분 에너지 소비를 초과하는 열량섭취에 있으며, 연령 증가에 따른 신진대사와 활동량 감소가 한 요인이 된다. 비만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