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사로저스 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이론의 필요성
1.2. 마사 로저스의 이론에 대한 탐구 필요성
2. 마사 로저스 이론 개관
2.1. 이론가 소개
2.2. 이론의 배경 및 영향
2.3. 주요 개념과 정의
2.4. 간호의 메타패러다임
3. 간호학계의 수용과 적용
3.1. 실무 측면에서의 적용 및 평가
3.2. 교육 측면에서의 활용
3.3. 연구 측면에서의 기여
4. 결론
4.1. 이론의 특성 및 한계점 고찰
4.2. 간호학 발전에 대한 시사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이론의 필요성
간호이론은 간호영역 내의 현상을 규명하고 간호학의 이론적 영역과 간호실무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20세기 초반에는 간호가 학문도 전문직도 아니었지만 지난 세기에 걸친 노력의 결과 간호이론이 학문의 주제가 되었고 간호 전문직도 성장할 수 있었다. 간호의 목적은 환자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람도 포함하며 환경적 요인도 중시한다. 따라서 간호 교육과 실무는 건강의 유지 및 증진, 환자나 장애인의 회복을 위해 같은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간호사들이 환자 간호를 제공했지만 이것이 기록되거나 간호 실무의 효과가 문서화된 연구는 없었다. 전문직으로서의 간호 발전을 위해 간호연구에서 개념적,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간호지도자들이 이해하게 되었다. 나이팅게일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각 부분의 합 이상이라는 인식이 간호를 하나의 독특한 전문직으로 특성 지었다. 간호 활동을 규정하고 간호연구를 개발하기 위해 간호 고유의 지식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간호사는 이론적 지식을 활용하여 환자 자료를 분류하고 간호 활동을 결정하며 기대되는 결과를 갖고 돌봄을 수행한다. 이처럼 간호이론은 간호실무의 기반이 된다.
1.2. 마사 로저스의 이론에 대한 탐구 필요성
간호이론은 간호영역 내의 현상을 규명하고, 간호학의 이론적 영역과 간호실무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로저스의 이론은 간호의 고유성과 간호학의 정체성을 정립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간호학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간호연구에서 개념적,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나이팅게일 이후부터 현재까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간호를 하나의 독특한 전문직으로 특성화시켜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로저스의 이론은 간호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로저스는 간호학 고유의 지식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여 이론을 개발하였다. 그는 인간을 환경과 통합된 개방체계로 보고, 에너지장, 개방체계, 패턴, 다차원성 등의 개념으로 인간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의 핵심주제인 인간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틀을 제시하였다.
로저스 이론의 핵심개념들은 간호현상을 보는 관점을 전환시켰고, 간호실무, 교육, 연구 등 간호학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로저스의 이론에 대한 탐구는 간호학의 발전과 정체성 확립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마사 로저스 이론 개관
2.1. 이론가 소개
마사 엘리자베스 로저스는 1914년 5월 12일 텍사스 댈러스에서 출생하였다. 테네시 대학교에서 과학을 공부하였고, Knoxville General hospital school of nursing에서 간호학 학위를 받은 후 테네시 내슈빌에 있는 George Peabody College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사범대학에서 공중 보건간호학으로 석사학위를, 볼티모어에 있는 Johns ...
참고 자료
간호이론가와 이론 Ⅰ,Ⅱ <대학서림> - Ann Marriner tomey
간호학개론 <수문사> - 고명숙
간호이론 <수문사> - 김수지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 이소우, 김주현, 이병숙, 이은희, 정연숙
최윤경 외, 『간호이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