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스마트 스피커 디자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AI 기술의 발전
2.1. AI의 정의
2.2. AI 기술의 핵심 분야
3. AI 스피커의 발전
3.1. AI 스피커의 정의
3.2. AI 스피커의 현 상황
3.2.1. 시장규모
3.2.2. AI 스피커의 일반적인 이미지
4. AI 스피커의 활용 방안
4.1. 스마트홈의 구축
4.2. 의료 활동 지원
5. AI 스피커의 미래 모습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구, 의류,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 생활용품 등에 이르기까지 '리빙(Living)'은 실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리빙(Living)'이라는 단어를 영어사전에서 찾아보면 '(현재) 살아 있는. 현재 사용되는(행해지는)'의 형용사적 의미, '생활, 생활 양식'등의 명사적 의미를 갖는다. 즉 리빙이란 생활 전반 및 생활 양식 뿐 아니라 생활에 활용되는 모든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리빙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은 다양한 제품의 출시에 있어 필수적이며, 비단 제품 뿐 아니라 공연 및 예술 분야에서도 중요한 일이다.
2. AI 기술의 발전
2.1. AI의 정의
AI(Artifical Intelligence)는 말 그대로 "인공지능"으로, 지능형 기계나 지능형 컴퓨터를 만드는 과정에 활용되는 일련의 과학 및 공학을 일컫는 말이다. 최근 AI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머신러닝, 딥러닝, 빅 데이터의 활용 등은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어주고 있다. 이러한 AI는 다양한 분야에 접목됨으로써 생산성과 속도를 향상시켰으며, 인류의 노동력을 최대한 적게 사용하고도 최대의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현재 AI 기술은 단순히 많은 양의 데이터, 즉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차원적인 결과를 내놓는다는 것에 그친다는 의견도 많다. 대표적인 예시로 AI가 강아지와 고양이를 구분하는 과정을 들 수 있다. AI는 강아지와 고양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수많은 강아지, 고양이 사진을 처리한다. 이 과정에서 강아지와 고양이의 보편적인 특징을 인식하여 전체 데이터를 두 집단으로 분류하게 된다. 이후 새로운 강아지 혹은 고양이의 사진을 받게 되면, 데이터를 처리하여 얻은 두 집단 중 어느 집단에 가까운지에 대한 처리를 통해 결과를 내놓게 되는 것이다. 이는 현 AI 기술 수준으로는 AI가 강아지와 고양이를 진정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흉내만 내는 것 뿐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2.2. AI 기술의 핵심 분야
AI 기술의 핵심 분야는 다음과 같다.
머신러닝이 AI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머신러닝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고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이다. 기존에는 사람이 명시적으로 규칙을 프로그래밍했지만, 머신러닝을 통해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규칙을 학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음성 인식, 영상 이해, 자연어 처리, 예측 분석 등 ...
참고 자료
위예진 외 4인 (2019). 발달 장애 아동 치료를 위한 인공지능 스피커 기반 대화형 자가 시스템 개발,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2, 1151-1152
한영주. (2021). AI 음성 비서와 AI 스피커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과 서비스 이용에 대한 연구 : 의인화 개성, 사회적 실재감, 개인화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1(3), 225-275.
조윤희, 김창석. (2021).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한글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5(2(A)), 143-145.
‘living’, 「동아출판 영어사전」
‘프루스트 현상’,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2017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비밀, ‘시온안료’, 한화케미칼 네이버 포스트, 2017
[마트]“어, 이런 유아용품도 있었나?”...아이디어상품 봇물, 이헌진 기자, 동아일보, 2001년 11월 5일
‘Bra.biz: soundwave.love’, ‘
‘스토리텔링’,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펴론가협회, 국학자료원, 2006
‘KFC(Kentucky Fried Chicken)’, 「세계 브랜드 백과」, 인터브랜드
㈜놀부 홈페이지
‘인공지능(AI) 스피커’, 「용어로 보는 IT」, 이지영, 블로터, 2016
‘아바타’,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엔씨 ‘리니지2M’ 일매출 얼마나 될까?, 강인석 기자, 더 게임스, 2019년 9월 25일
'사물인터넷', <용어로 보는 IT>, 이지영, 블로터
'국내 IoT 시장', <사물인터넷의 미래>, 박종현 외 8인 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소셜 데이팅', <네이버 국어사전>
‘온라인 데이팅’, 「위키피디아」
'A global shift in the social relationships of networked individuals: Meeting and dating online comes of age', Bernie Hogan & William H. Dutton, 2011
"오프라인보다 편해요"...'소셜 데이팅'에 빠진 지구촌 남녀, 안정훈 기자, 매일경제, 2018년 8월 23일
'부산 망미 주공아파트', <아파트문화사>, 장박원 외 1인 저,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