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통대 부동산법제 중간과제물 경매대금 배당"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경매대금 배당의 법적 원리
2.2. 경매절차와 배당순위
2.3. 근저당권자(丙)와 임차인(乙)의 권리보호
2.4. 경매대금 배당의 실제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부동산법제 과제에서 제시하는 사례는 서울 종로구 대학로 인근 이화사거리에 위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2층 꼬마빌딩 Y에 대해 발생한 임대차와 근저당권 설정, 그리고 경매절차를 둘러싼 우선순위 및 배당문제에 대한 법률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다. 이 사건의 핵심적인 법적 쟁점은 임차인 乙의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 성립 여부, 근저당권자 丙과의 우선순위 판단, 경매대금 1억 5천만 원의 배당구조를 어떻게 정리할 수 있는지에 있다. 이를 통해 부동산에 관한 임대차권과 근저당권이 설정된 뒤, 해당 부동산이 경매로 처분된 경우 각 권리자의 권리 보호 및 배당 우선순위를 어떻게 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법적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2. 본론
2.1. 경매대금 배당의 법적 원리
경매는 채무자의 재산을 압류하여 매각하고, 그 매각대금을 채권자들에게 배당하는 법적 절차이다. 경매대금의 배당은 채권자들의 권리 우선순위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는 민법 제211조와 제185조에 근거한다.
첫째, 경매 절차에서 가장 먼저 배당되는 채권자는 해당 부동산에 설정된 담보권자이다. 민법 제356조에 따르면, 근저당권자와 같은 담보권자는 다른 채권자보다 우선하여 자신의 채권액을 변제받을 수 있다. 따라서 2024년 3월 10일 甲이 丙은행에 근저당권을 설정한 경우, 丙은행은 경매대금에서 1억 원을 우선 배당받을 수 있다.
둘째, 담보권자 다음으로 우선 배당을 받는 것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 의해 보호되는 임차인의 보증금이다.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5조에 따르면, 대항력과 확정일자를 갖춘 임차인은 경매 시 자신의 보증금을 다른 채권자보다 우선하여 변제받을 수 있다. 본 사례에서 乙은 2023년 3월 10일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1천만 원의 보증금을 납부하였으므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이 보증금을...
참고 자료
조승현, 이호행. (2024). 부동산법제.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상용. (2023). 민법총칙 (제11판). 서울: 박영사.
법제처. (2024). 민법. 국가법령정보센터.
법제처. (2024).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김용한. (2022). 민사집행법 강의 (제6판). 서울: 진원사.
대한법률구조공단. (2023). 소액임차인 보호를 위한 배당요구 실무 가이드. 서울: 법률구조공단.
공용, 2019, 부동산법제4공통 유치권이 설정된 부동산이 경매되는 경우 다른 권리저당권 채권 등 내지 제도가압류압류와의 관계에서 유치권이 소멸하는지에 대해 논하시오
강민성, 민사집행과 유치권 사법논집 제36집, 법원행정처, 2004
곽윤직, 물권법, 박영사, 2013, p.506
제철웅, 담보법 개정판, 율곡출판사, 2011
김기찬·이춘섭, 부동산경매에서 유치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제13집 제2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07
김성욱, 유치권 제도의 운용과정에서의 법적문제, 법학연구 제16집 제1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2조, 제3조, 제5조, 제14조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시행령 제6조, 제7조
민사집행법 145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