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식물병 저항성의 종류와 식물체의 방어기작을 식물체-병원체의 상호작용과 연결하여 설명하라
식물병 저항성의 종류와 식물체의 방어기작을 식물체-병원체의 상호작용과 연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물병은 병원체나 환경 요인이 식물의 정상적인 생리 기능을 방해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병은 식물의 본래 형태나 생리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며 이러한 이상적인 상태를 병징이라고 한다. 병은 곤충에 의한 피해나 동상해,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한 식물의 이상과 구별된다. 병의 원인은 주로 병원체인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식물에 침입하여 유발할 수 있고, 과도한 습도, 온도 변화, 건조, 고온 등의 환경 요인도 병의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
식물병의 발병에는 병의 발생 조건(유인), 병원성, 감수성, 저항성 등의 주요 요인이 작용한다. 병의 발생 조건은 병원체가 기주식물에 감염되어 번식하기 위한 적절한 환경 조건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병원성은 병원체가 기주에 감염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감수성은 기주식물이 병원체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여 병을 발병시킬 가능성이 높은 성질을 의미한다. 반면, 저항성은 식물이 병원균의 침입에도 병의 발생이 어려운 성질을 나타내며, 저항성 유전자가 이러한 저항성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병원체의 변이에 따라 기존 저항성 유전자가 효과를 잃을 수 있다.
식물병 저항성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주요 종류로는 수직저항성, 수평저항성, 확대저항성, 면역성, 내병성 등이 있다. 수직저항성은 특정 병원균의 레이스에 대해 특정 품종이나 다른 품종 간에 감수성이 다른 경우를 말하며, 수평저항성은 다양한 병원균 레이스에 대해 여러 품종이 비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