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장손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비장 손상의 정의와 특성
2.1. 비장의 구조와 기능
2.2. 비장 손상의 원인
2.3. 비장 손상의 병태생리
3. 비장 손상의 증상과 진단
3.1. 비장 손상의 증상 및 징후
3.2. 비장 손상의 진단 방법
4. 비장 손상의 치료 및 간호
4.1. 비수술적 치료
4.2. 수술적 치료
4.3. 비장 손상 환자의 간호
5. 비장 손상의 합병증
5.1. 초기 합병증
5.2. 후기 합병증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비장은 인체 내에서 가장 중요한 림프기관 중 하나이다. 전신의 림프기관 중량의 약 25%를 차지하는 비장은 타원형의 모양으로 길이가 약 12cm, 폭이 약 5cm 정도 되며 좌상복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비장은 혈액의 여과기관으로서, 이물질을 포착하고 세균과 바이러스를 파괴하여 혈액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적혈구의 저장소 및 파괴된 적혈구에서 유리된 헤모글로빈을 포획하여 철분의 대사작용을 돕는 등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장은 복부 둔상에 의해 주로 손상되며, 외상에 의한 복강 내 고형장기 손상 중 45%를 차지할 정도로 많이 발생한다. 비장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고정되어 있으며 풍부한 혈류 공급을 받기 때문에 손상에 취약하여 대량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비장 손상의 정의와 특성, 원인, 병태생리, 증상 및 진단, 치료와 간호, 합병증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비장 손상의 정의와 특성
2.1. 비장의 구조와 기능
비장은 인체 내에서 가장 중요한 림프기관으로서 전신의 림프기관 중량의 약 25%를 차지한다. 비장은 타원형이며 길이가 약 12cm, 폭은 약 5cm이고 가로막 바로 아래 좌상복부에 위치하며 양측과 후면은 위바닥부에 닿아 있다. 중앙에는 혈관과 신경이 출입하는 비장문이 있다.
비장은 혈액의 여과기관으로 이물질을 포착하고 세균과 바이러스를 파괴하여 혈액을 정화시킨다. 또한 적혈구의 저장소 역할을 하며 파괴된 적혈구에서 유리된 헤모글로빈을 포획하여 철분의 대사작용을 돕는다. 이처럼 비장은 인체의 면역기능과 혈액 정화 등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2.2. 비장 손상의 원인
비장은 간과 더불어 가장 흔하게 손상되며, 주로 복부 둔상에 의해 발생한다. 비장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고정되어 있으며, 풍부한 혈류 공급을 받기 때문에 손상에 취약하다. 따라서 비장 손상에 따른 대량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흉곽 하부를 골절시키는 손상(특히 11번, 12번 늑골 골절)은 비장 또는 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외상에 의한 복강 내 고형장기의 손상 중 비장 손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45%로 가장 높다. 이는 비장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고정되어 있으며, 풍부한 혈류 공급을 받기 때문에 손상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2.3. 비장 손상의 병태생리
비장이 손상되면 손상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혈액이 ...
참고 자료
제 6판 인체해부학(고문사) 197p 지라
제 7판 성인간호학(현문사) 상권 244~257p 통증
제 7판 성인간호학(현문사) 하권 62p 지라(비장)와 간, 72p 혈액계 장애 대상자 간호
제 4판 기본간호학(현문사) 230p, 238p 활력징후
진단적 검사와 간호(현문사) 600~601p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칼럼_어떤 늑골 골절이 위험한가요?
대한영상의학회지_복부 둔상의 다중검출 CT:영상소견 및 진단에 있어 주의할 점
MSD 매뉴얼 일반인용_비장 손상
한국간담췌외과학회_HBP and trauma
드러그인포_전문의약품 요약정보
전남대학교병원 외상외과_출혈성 쇼크의 병태생리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황옥남, 권보은, 서순림, 안경주, 유양숙, 은 영 p.111, p.233~234, p.245, p.246, p.75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황옥남, 권보은, 서순림, 안경주, 유양숙, 은 영 p.62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송경애, 박형숙, 홍영혜, 이강이, 정승교, 조복희, 정경옥, 윤은주, 김순옥, 엄미란, 이규은, 양진향 외 공저 p.28, p.29, p.34, p.62, p.63
복합다장기 중환자간호- 군자출판사 Patricia Gonce Morton, Dorrie K. Fontaine, Carolyn M. Hudak, Barbara M. Gallo 옮긴이: 중환자전문간호교육과정협의회 p.872
응급간호- 수문사 김영숙, 손인아, 고은, 권숙희, 권영숙, 기미영, 김명희, 김미정, 김영미, 김옥숙, 김태경, 김효정, 류화라, 모문희, 박영례, 서길희, 심정신, 양남영, 이순희, 정향진, 최귀윤, 한승희, 황선경 공저 p.363
KIMS 의약정보센터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 정보-지라(spleen)
강동연. 2015.08. 외상성 비장 손상 환자에서 선택적 치료 : 단일기관연구 = Therapeutic options in patients with traumatic splenic injury. 전남대학교 의학과. 석사학위논문. 광주
http://blog.naver.com/sungshpr?Redirect=Log&logNo=220026453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