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화동화자(문화 감지 도구) 수업을 위한 질문의 예를 구성해 봅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화교육의 필요성
1.2. 문화 감지 도구의 개념과 특징
2. 본론
2.1. 문화 감지 도구의 활용 방안
2.1.1. 문화 간 차이에 대한 이해 증진
2.1.2. 의사소통 능력 향상
2.1.3. 문화 적응력 제고
2.2. 문화 감지 도구 수업을 위한 질문 구성
2.2.1. 음식 문화 차이에 관한 질문
2.2.2. 생활 문화 차이에 관한 질문
2.2.3. 금전 관련 문화 차이에 관한 질문
3. 결론
3.1. 문화 교육에서 문화 감지 도구의 효과
3.2. 문화 감지 도구 활용의 중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화교육의 필요성
문화교육의 필요성이다. 언어와 문화는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언어교육에서 문화에 관한 이해 없이는 해당 언어를 제대로 학습할 수 없다. 언어를 잘 사용한다는 것은 단순히 말하기를 잘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문화적인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언어는 겉으로 드러나는 의미 이외에도 내포하는 또 다른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의사소통의 과정에 있어서는 비언어적인 요소 또한 상당히 중요한데, 이러한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단시간에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언어적 및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의 오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문화 간의 훈련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즉,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 사회에서 접하게 되는 문화 충격의 상황들을 수집하여 그에 대해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최근 그에 대한 방법으로 문화동화자(문화 감지 도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1.2. 문화 감지 도구의 개념과 특징
문화 감지 도구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문화 간 훈련의 방법 중 하나이다. 문화 감지 도구는 학습자의 문화와 타 문화권의 문화를 서로 대조하여 문화 간 차이점을 감지하도록 돕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문화 감지 도구의 특징으로는 첫째, 타문화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경험할 수 있다. 둘째, 타문화를 접하게 될 때 처음 겪거나 익숙하지 않은 상황들을 미리 경험할 수 있다. 셋째, 문화 간에 차이가 있을 때 생기는 문화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다. 넷째,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능동적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긴 시간을 수업하지 않아도 효과적으로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와 같이 문화 감지 도구는 학습자의 문화와 목표 문화의 차이를 감지하고 이해할 수 있는 훈련 방법이며, 이를 통해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본론
2.1. 문화 감지 도구의 활용 방안
2.1.1. 문화 간 차이에 대한 이해 증진
문화 간 차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은 문화 감지 도구의 주요 활용 방안이다. 문화 감지 도구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문화와 목표 문화 간 차이점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문화적 오해를 줄이고 원활한 의사소통 및 적응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문화 감지 도구는 문화 간 차이가 나타나는 상황을 구체적인 에피소드로 제시한다. 학습자들은 이를 통해 문화 간 행동 방식의 차이를 직접 체험하고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에피소드에 제시된 선택지를 통해 상황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반응을 검토하게 된다....
참고 자료
김정아, 문화간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훈련내용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김지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불안과 문화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손은경, 문화감지도구(Intercultural Sensitizer) 개발 연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2003.
이은진, 문화감지도구(intercultural sensitizer)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2012.
이은진(2011),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화감지도구 개발 연구 –중국인 학습자들 대상으로-
손은경(2003),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화감지도구 개발 연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박정미(2019),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이성희(2015), 한국문화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