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임신성당뇨 IIOC의 개념과 정의
임신성당뇨 IIOC의 개념과 정의이다. 정상 임신 동안 자궁 경부는 태아와 자궁의 크기 변화와 관계없이 단단하고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임신 말기 및 분만 때가 되면 자궁 경부는 부드러워지고 길이가 짧아지면서 태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즉, 임신 동안 태아를 자궁 내 유지하는 자궁 경부의 능력을 자궁 경부 적격 능력이라고 하고 임신 중 자궁 경부가 이러한 역할을 유지하지 못하여 임신 도중 자궁 문이 열려서 양수 파수 및 태아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이러한 경우를 자궁경관무력증(Incompetence Internal Os of Cervix)이라고 한다.
1.2. 임신성당뇨 IIOC의 원인
임신성당뇨 IIOC의 원인은 선천적요인, 후천적요인, 생리적요인으로 구분된다. 선천적요인은 약 2%에서 후천적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로, 자궁경관 및 자궁내구의 섬유근육에 선천적인 무력증이 있거나 자궁기형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이다. 후천적요인에는 주로 자궁경관의 손상이 포함되며, 산과적 수술이나 부인과적 수술, 자연적인 산과적 열상, 소파술 등으로 인한 기계적 확장 등이 그 원인이 된다. 생리적요인으로는 쌍태임신과 같이 자궁이 정상 단태임신보다 큰 경우, 과다한 압력이 자궁경관에 작용하여 IIOC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1.3. 임신성당뇨 IIOC의 증상
임신성당뇨 IIOC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아래로 빠질듯한 질 압박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자궁경부의 개대로 양막이 밀려나오거나 양막 파수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질 출혈과 점액질 같은 질 분비물이 많이 나오게 된다. 마지막으로 요통과 간헐적인 자궁 수축이 동반된다. 이러한 다양한 증상들은 임신 중 자궁경관의 기능저하로 인한 것이며, 조산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1.4. 임신성당뇨 IIOC의 진단
임신성당뇨 IIOC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아직 자궁경관무력증의 단독적인 임상적 소견이나 검사상의 소견은 없다. 그 이유는 우선 '진정한 자궁경관무력증'은 어떤 특정한 해부학적인 질환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인자가 작용되는 기능적인 면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자궁내시경 및 초음파촬영 등이 진단 목적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과거력을 통한 진단방법으로는 임신 중반기 이후의 자연 유산이나 조산의 경험이 1회 이상이면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때 반드시 자궁 수축이 없으면서(진통이 없으면서) 자궁경부의 개대가 일어나서 태아 손실이 있어야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임신 전 진단 방법으로는 시진 및 촉진을 통해 자궁경관의 기형, 열상 등을 관찰할 수 있고, Hegar test와 Traction test를 통해 자궁내구의 넓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주관적인 평가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임신 중 진단 방법으로는 질식 초음파로 자궁경관의 길이 감소, 확장 등을 관찰할 수 있다. 과거력이 있는 경우, 임신 제 2삼분기의 초기부터 1주일 간격으로 자궁경관의 길이, 경도, 개대정도, 방향, 열상 또는 해부학적 이상 여부를 측정하고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신성당뇨 IIOC의 진단에는 과거력 확인, 시진 및 촉진, 각종 검사 등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