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구약시대 대제사장의 직무와 의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구약 시대 대제사장의 직무와 의복
1.1. 서론
1.2. 제사장의 전통적인 용어
1.3. 대제사장과 제사장의 유래
1.4. 대제사장과 제사장의 의복
1.4.1. 에봇
1.4.2. 흉패
1.4.3. 우림과 둠밈
1.4.4. 에봇 받침 겉옷과 관패
1.4.5. 관 및 고의
1.5. 대제사장의 역할
1.5.1. 대제사장의 역할
1.5.2. 제사장의 역할
1.6. 제사장의 위치와 행정적 기능
1.6.1. 왕국시대의 제사장의 위치
1.6.2. 왕국시대의 제사장의 행정적 기능
1.6.3. 유배기 이후의 제사장의 위치
1.7. 유배기 이후의 제의
1.8.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구약 시대 대제사장의 직무와 의복
1.1. 서론
구약 시대 대 제사장의 직무와 의복
예수님이나 정통적인 그의 유대인 제자 중에도 제사장직이나 성전의 희생제의 체계를 파격하게 배척하는 이는 없었다. 이는 그들이 이런 제도들을 하나님께서 주신 율법으로 인정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기독교는 제사장직에 대한 개념을 적극적이고 창조적으로 발전시켰는데, 그것은 곧 그리스도께서 친히 위대하고 완전한 대 제사장의 역할을 담당하신다는 것이다. 짐승의 희생물은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진 모든 희생으로 인하여 이제 더 필요치 않게 되었다. 그리스도 자신이 위대한 제사장이 되시며 그리스도만이 하나님과 인간을 잇는 유일하신 중보자시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대 제사장이시며 지금도 하늘 아버지 우편에 앉으셔서 우리를 위하여 중보의 기도를 드리고 계신다. 우리는 오로지 그를 통하여만 하나님께로 나아갈 수 있다.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그의 백성의 관계를 결속 시키셨다. 그는 제사장으로 그 관계를 유지하고 계신다. 우리는 이러한 완전하고 영원한 제사장직을 히브리서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하늘나라에서도 그리스도는 제사장으로 일하고 계신다.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계실 때, 제물을 바치려고 성전에 나가신 일은 없다. 그는 전도하고 가르치기 위하여 성전에 나가셨던 것이다. 이렇게 그리스도로 묘사되는 대 제사장이란 무엇인가? 유대인들에게 대 제사장 그리고 제사장이란 어떤 존재였는가? 그러한 존재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알아보아야 한다.
1.2. 제사장의 전통적인 용어
제사장의 전통적인 용어는 히브리어 '코헨'이다. 이 용어는 우가리트어, 페니키아-카르타고어, 알마어 방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아랍어 '카힌'은 옛 어법을 나타내지만 특수한 함축성을 지니고 있다. 코헨은 모든 종류의 제사장을 가리키는 말이며, 반드시 이스라엘 민족 또는 야웨의 제사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성서 히브리어에는 코헨의 여성형은 없으며, '바트 코헨'이라는 용어는 제사장 가족의 일원인 여인을 부르는 이름일 뿐이다. '코마르'라는 용어는 바랑의 제사장을 가리키는 말로, 성서 기자들은 이들을 우상숭배를 하는 사람 또는 바알의 제자라고 생각했다. '카데쉬'라는 용어도 코헨과 관련이 있는데, 우가리트어의 남성형 복수 'qdsm'은 제사장을 나타내며 'khnm'과 함께 사용되었다. 아카드어에는 여성형 '카디쉬투'가 나오는데, 성전의 여 제사장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1.3. 대제사장과 제사장의 유래
출애굽기 28장 1절을 통해 우리는 아론과 그의 아들들이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때까지는 각 가족의 가장이 가족의 제사장이었으므로, 필요할 때마다 제사를 드렸다. 그러나 이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한 민족으로 통합되기 시작하였고, 회중의 장막이 그들의 통일성의 가시적 중심으로 세워져야 할 때이므로, 필수적으로 공적인 제사장직 제도가 필요했다.
지금까지 그 직무를 수행했고, 그렇기 때문에 여호와의 제사장으로 여겨졌던 모세는 그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하는 예언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이행했고, 또 판결하는 왕으로서의 할 바를 충분히 이행하였다. 그러나 이제 그는 모든 영예를 자기 혼자 독점하거나 세습권이 있는 제사장직을 자기의 가족에게 물려주기를 원치도 않았다.
오히려 그는 그의 형 아론이 직분에 서임되고 그의 자손들이 그를 계승하는 것을 보고 매우 기뻐했으며 한편 모세 자신은 아무리 위대하다 해도 자신의 사후에 그의 자손은 평범한 레위 족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 그가 자기 직계 가족이 발탁되기를 전혀 기대하지 아니했다는 사실은 이 위대한 인물이 지니고 있던 겸손의 한 실증이며, 그가 하나님의 영광을 성실히 좇았다는 한 증거이다.
아론은 한 예언자로서 자기 동생 모세를 겸손히 섬겼으며 그러한 직분을 거적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이제는 제사장이요 대제사장으로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게 된 것이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 일반이 하나님께 대한 제사장 나라가 되리라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그러나 제단에서 봉사하는 자들은 자신들을 전적으로 그 일에만 바쳐야 할 것이 필요했으며 또한 모든 사람이 맡은 일을 불원간 아무도 행하지 않은 일이 되기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그들 중에서 한 가족 곧 아버지와 네 아들을 택하여 제사장 가족으로 삼으셨다. 그래서 신·구약 성경 속에서 자주 읽는 바대로 유대 교회의 모든 제사장들은 아론의 가계에서 계승된 것이다.
1.4. 대제사장과 제사장의 의복
1.4.1. 에봇
에봇은 대제사장만이 입는 의복과 같은 앞치마였다. 에봇은 청색, 자색, 홍색, 흰 세마포 등 4가지 색깔로 만들어졌는데, 이는 바깥뜰과 지성소 문과 휘장에서 볼 수 있는...
참고 자료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김의원 저, 레위기 주석,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정중호 저, 레위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4
존 맥아더 저, 설교론, 부흥과개혁사, 2012
데렉 티드볼 저, 레위기 강해, IVP 2016
1. Matthew Henry, 출애굽기 성서주석, 황장욱 역, 서울: 기독교문사, 1975
2. 신응균 외, 성경강해 서울: 나단출판사, 1996
3. H. C. Mears 성경핸드북, 구영제 역, 서울: 아가페출판사, 1982
4. William. S. Lasor, 구약개관(I),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4
5. D. S. Russell, 신·구약 중간시대, 임태수 역, 컨콜디 아 출판사,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