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도서관 정보서비스는 도서관 운영의 핵심이다. 도서관은 도서관자료와 시설을 활용하여 공중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보서비스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특히 학교도서관의 경우 학교교육의 목표달성과 교육과정 전개에 직접 기여하므로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조사에서는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의 특징과 우수사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는 학생과 교직원을 위한 자료제공, 정보활용 교육, 독서지도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며, 국내외 도서관의 우수 사례를 통해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볼 것이다.
2. 국내 도서관
2.1. 부산광역시립 시민도서관
부산광역시립 시민도서관은 원하는 책이 도서관에 없는 경우, 가까운 지역 서점에서 빌린 뒤 도서관으로 반납하는 '지역 서점 희망도서 바로 대출' 서비스와 부산광역시 내 공공도서관에서 자료 통합검색과 대출, 반납을 지원하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책이음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 진로 탐색 활동과 도서관 사서 직업체험을 지원하는 '청소년 진로, 직업체험', 학교 교과과정에 필요한 책을 택배로 대출해주는 '책 꾸러미 택배 서비스', 학교에서 도서 원화를 전시하고 활용할 수 있게 원화를 택배로 대출해주는 '원화 꾸러미 택배 서비스' 등 다양한 지역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지역 사회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 정보서비스는 부산광역시립 시민도서관에서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용자의 편의와 정보 자원 활용을 위해 지역 정보서비스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2.2. 서울도서관
서울도서관은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공공도서관으로, 이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첫째, 홈페이지의 '지식문화 콘텐츠' 페이지에서는 공공정보, 일상 정보, 전문정보 분야별로 관련 정보원을 소개하고 있다. 공공정보 분야에는 경제, 일자리, 보건, 식품 분야의 정보가, 일상 정보 분야에는 교육, 교통, 문화 분야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전문정보 분야에는 과학, 통신, 법률 분야의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분야별 정보를 통해 시민들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둘째, '서울 자료' 페이지에서는 서울시에서 발간한 각종 정기간행물과 발간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와 관련된 웹사이트 주소를 정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이 다양한 서울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시보, 생활법령정보, 서울지명사전, 서울 도시계획 포털 등의 웹사이트 주소가 수록되어 있다.
셋째, '독서 문화 활동' 페이지에서는 서울시 내의 600개 서점 정보를 제공하는 '서울의 책방 찾기' 프로그램과 서울시 내 공공도서관, 작은 도서관, 장애인 도서관 등의 위치를 안내하는 '도서관 찾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서울 지역 내 책 관련 자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서울도서관은 정보제공, 정보안내, 정보활용 측면에서 서울시민들에게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고 있다.
2.3. 강동 구립 천호도서관
강동 구립 천호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육아 정보와 공동 육아 소식을 제공하는 특화된 도서관이다. 'ON 마을 톡톡' 프로그램을 통해 매달 이메일이나 문자로 육아 서적 신간과 강동구의 육아 정보를 신청자에게 선별적으로 배포하고 있다. 또한 강동문화 포털 사이트로 연결되는 '지역 정보' 페이지를 운영하여 강동구의 문화재, 축제, 관광명소 등 지역 문화 정보를 제공한다. 이처럼 천호도서관은 지역 주민, 특히 젊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육아 및 문화 정보 안내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4. 성남시 중원도서관
성남시 중원도서관은 여행, 지역을 주제로 관련 도서와 성남시에 대한 여행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우리 고장 성남' 페이지에서는 성남의 기후, 지형, 위치 등 자연환경과 성남의 역사, 성남 출신 인물, 성남시의 문화재, 관광자원 등이 소개되어 있다. 삼국시대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시기까지의 성남시 역사와 성남 지명 변화, 연표, 성남 문화원과 한국학 중앙연구원에서 제공한 10명의 인물 소개, 27개의 문화재와 39개의 관광 장소 자료 등 성남시 전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자료가 풍부하면서도 시각적으로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다. 또한 한국잡월드, 남한산성, 성남아트센터 등 성남시의 다양한 문화 자원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