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질관리 A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현황
2.1.1. 수자원 부존량
2.1.2. 강우특성
2.1.3. 유출특성
2.2. 빗물, 하천수, 호소수 및 지하수의 수질 특성
2.2.1. 빗물의 수질 특성
2.2.2. 하천수의 수질 특성
2.2.3. 호소수의 수질 특성
2.2.4. 지하수의 수질 특성
2.3. 수인성 전염병의 원인, 종류 및 특징
2.3.1. 원인
2.3.2. 종류
2.3.3. 특징
2.4.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2.4.1. 수질기준 및 수질상태
2.4.2. 생물학적 특성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물은 인류 문명의 근간이자 생명체 존재의 필수 요소이다. 그러나 기후변화와 인구 증가, 산업화로 인해 물 부족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체계적인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계절에 따른 강수량 편중과 지형적 특성으로 인한 지역별 편차, 높은 유출률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어,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수자원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물의 순환 과정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수자원 부존량과 이용 현황, 먹는물의 수질 기준과 관련 유해 화학물질의 특성 및 유해성을 살펴보는 것은 효과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본 레포트에서는 이러한 주제들을 종합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2. 본론
2.1.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현황
2.1.1. 수자원 부존량
우리나라의 수자원 부존량은 연평균 강수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1,300mm로, 이는 세계 평균보다 높은 수치이다. 하지만 강수는 지역에 따라 불균형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남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며, 연평균 강수량이 약 1,500mm를 넘는 지역도 있다. 반면, 북부 지역과 산간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강수량을 기록하며, 연평균 강수량이 800mm 이하인 지역도 존재한다. 강수의 계절적 특성도 중요한데, 여름철(6월~9월) 집중 호우와 장마철의 강수량이 많은 반면, 겨울철에는 건조하고 강수량이 적다. 이러한 계절적 불균형은 수자원의 분배와 이용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의 수자원 부존량은 연간 약 30조 톤으로 추정된다. 이는 강수량을 기반으로 하여, 하천을 통한 유출과 댐, 저수지 등을 통해 수자원이 저장되고 관리된다. 대부분의 수자원은 강수량에 의존하며, 그 외에도 지하수, 댐과 저수지에서 공급되는 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자원들은 강수에 따라 매년 차이가 나므로,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조절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하천은 대체로 짧고 급경사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 강수 후 물이 빠르게 유출된다. 이로 인해 수자원의 보존과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특정 지역에서는 홍수나 가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수자원 부존량은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만, 강수의 불균형과 지역별 차이가 크기 때문에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정 지역에서는 수자원이 부족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과잉이 발생할 수 있어 저수지, 댐, 지하수 등의 저장 방안을 통해 수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후 변화와 계절적 변동에 따른 수자원의 변화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과제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수자원 부존량은 양적으로 충분할 수 있지만, 불균형적인 분포와 기후적 특성을 고려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가 중요한 과제가 된다.
2.1.2. 강우특성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연평균 약 1,300mm로 세계 평균보다 높은 편이다. 그러나 강수는 지역에 따라 불균형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남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며, 연평균 강수량이 약 1,500mm를 넘는 지역도 있다. 반면, 북부 지역과 산간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강수량을 기록하며, 연평균 강수량이 800mm 이하인 지역도 존재한다.
강수의 계절적 특성도 중요하다. 여름철(6월~9월) 집중 호우와 장마철의 강수량이 많은 반면, 겨울철에는 건조하고 강수량이 적다. 이러한 계절적 불균형은 수자원의 분배와 이용에 영향을 미친다.
계절성과 지역 차이에 의해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은 큰 영향을 받는다. 여름철 집중되는 강수량과 지역별 강수량 차이는 수자원의 관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수자원 공급 과잉과 겨울철 건조로 인한 부족 현상이 반복되므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가 필요하다. 지역적인 차이에 따라 수자원의 분배와 공급을 조절하고, 비균형적인 수자원 분포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이 요구된다.
2.1.3. 유출특성
우리나라의 유출특성은 강수 후 하천을 통해 수자원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우리나라의 유출특성이 결정된다.
첫째, 하천 유역의 특성이다. 우리나라의 하천은 대부분 짧고 급경사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강수 후 물의 유출이 매우 빠르다. 하천의 길이가 짧고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비가 내린 후 물이 신속하게 하천으로 유입되어 급격한 유출을 유발한다.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이 발생하는 시기에는 강수량이 급증하여 물이 하천으로 빠르게 흘러들어가, 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지역에서는 수자원의 저장과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한다.
둘째, 유출률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연평균 강수량 약 1,290억 ...
참고 자료
공용, 2014, 제주대학원 대학원 석사과정, 우리나라 상수원 수처리기술 개발 동향·추진전략
공용, 수질관리,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유출특성 국토교통부환경부및 각지자체의 최근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이용하고 수질기준수질상태 및 생물학적 특성설명, 2020.
박종수, 2007,「서해안의 수산자원 실태와 관리방안」, 서해안 살리기 심포지엄.
박은경, 지구의 물 순환, 한국물포럼 총재, 세계물위원회 집행이사,2007,
이성우.이현동.한명호.곽동희.김충환 공저, 고도상수처리, 동화출판, 2014,
정용태.노섭 공저, 상하수도공학, 도서출판 청호, 2013, 공학박사
국토교통부, 수자원장기종합계획(국토교통부 홈페이지 참고)
환경부. 2017.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개선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16. 수생생물 보호를 위한 환경 기준 마련 연구(II).
김정희, 류리나, 이종수, 송대성, 이영수, 전항배. 2016. 국내 지하수의 주요 미네랄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방상원, 정재현. 2005. 우리나라와 선진국간의 지하수 수질기준에 관한 고찰. 환경정책연구.
전승훈, 박상길, 채수권. 2014. 선진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사례검토, 한국방재학회논문지.
전승훈. 2019. 하천환경 자연도의 평가지표 및 기준 연구- 생물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수질관리. 권수열, 김영 지음. 사륙배판. 2009년
한국수자원학회, 우리나라의 수자원
https://kwra.or.kr/staticdata/static/ref-room/ref-kwr/
한국 수자원공사, 용도별 지역별 지하수 이용 현황
https://www.data.go.kr/data/15088525/fileData.do?recommendDataYn=Y#tab-layer-file
발암요인보고서, 국가암정보센터, 벤젠, 다이옥신
https://www.cancer.go.kr/lay1/bbs/S1T265C823/B/67/list.do
알기쉬운 의학용어, 톨루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4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