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현문사 여성
1.1. 월경기반법
월경기반법은 배란 시기와 수정 능력을 고려하여 피임을 하는 방법이다. 월경력법은 가장 짧은 월경주기에서 18을 뺀 날부터 가장 긴 월경주기에서 11을 뺀 날까지를 금욕기간으로 정한다. 이 방법의 최저실패율은 5%이다. 표준일법은 월경주기 8일부터 19일까지를 금욕기간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나머지 기간은 수정이 가능하다. 증상기반법에는 2일법과 기초체온법, 자궁경부점액관찰법, 증상체온법 등이 있다. 2일법은 2일간 질 분비물이 없었다면 피임 없이 성관계를 할 수 있는 방법이며 실패율이 4%이다. 기초체온법은 배란 후 3일부터 월경 시작까지를 안전기간으로 제시한다. 자궁경부점액관찰법은 배란 전후의 점액 변화를 관찰하여 배란 시기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증상체온법은 기초체온과 경부점액 관찰을 병용하는 방법으로 실패율이 0.4%로 가장 낮다. 이와 같은 월경기반법들은 일정한 월경주기와 정상 생리 과정을 전제로 하므로 주기가 불규칙한 경우나 생리 과정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1.2. 표준일법
표준일법은 월경주기에 수정 가능한 날이 8일째에서 19일째로 '고정'되어 있다고 보고 월경주기 8일-19일째까지를 금욕기간으로 설정한다. 나머지 기간은 임신이 가능한 기간이다. 이 방법은 배란 날짜를 정확히 모르더라도 단순히 월경주기를 계산함으로써 피임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월경주기가 일정하고 변동이 크지 않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표준일법의 최저 실패율은 약 5%이다.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피임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증상기반법
증상기반법은 여성의 생리적 증상을 관찰하여 배란 시기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주요 증상기반법에는 2일법, 기초체온법, 자궁경부점액관찰법 등이 포함된다. 이들 방법은 배란 시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피임 효과가 높지만, 숙련도가 필요하고 개인차로 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2일법은 자궁경부 분비물을 관찰하여 배란 임박 시 분비물이 없는 2일간 성관계를 허용하는 방법이다. 최저 실패율은 4%로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사용이 쉽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기초체온법은 배란 전후 체온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배란 전 체온은 낮고 배란 후 프로게스테론 분비로 인해 체온이 상승하므로, 이 체온 변화를 관찰하여 배란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감염, 과로, 불면 등 생활 습관이 체온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기초체온 측정표를 기록해야 한다. 최저 실패율은 0.4%로 매우 높은 편이다.
자궁경부점액관찰법은 월경주기에 따른 자궁경부 점액의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이다. 배란 시기에는 점액이 풍부하고 투명하며 점도가 낮아 정자 침투에 유리한 환경이 된다. 배란 전후 점액의 변화를 파악하여 배란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이처럼 증상기반법은 여성의 생리적 변화를 관찰하여 배란 시기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다른 피임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임 효과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개인차와 생활 습관의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숙련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1.4. 자연피임법
자연피임법은 의학적 처치나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생리적 변화에 의해 피임하는 방법이다. 주기적 금욕, 질외사정, 질세척법, 월경주기법 등이 대표적이다.
월경주기법은 월경 주기의 변화를 관찰하여 배란기를 피해 성관계를 하는 방법이다. 기초체온법과 자궁경부점액관찰법 등을 활용하여 배란 시점을 예측하고, 그 시기에는 성관계를 자제한다. 이는 비용이 들지 않고 자연스러운 방법이지만, 월경 주기가 일정하지 않은 여성에게는 신뢰도가 낮으며 실패율이 높다.
질외사정법은 성교 중 정액이 질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액이 질 내로 새어나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피임 효과가 매우 낮다. 따라서 다른 피임법과 병행하여 사용해야 한다.
질세척법은 질 내로 물이나 식초산 용액을 주입하여 정자를 씻어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 역시 피임 효과가 매우 낮고, 질 내 박테리아 층에 변화를 일으켜 감염 위험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자연피임법은 안전성과 신뢰도가 낮은 편이어서 다른 피임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비용이 들지 않고 의학적 처치를 받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어, 일부 여성들이 이를 선호하기도 한다.
1.5. 차단피임법
콘돔은 피임 외에도 임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나 단순포진 같은 성병 예방에 유용하다. 남성용 콘돔은 HIV 전파 예방에 유일한 방법이며, 두께 1mm 이하로 매우 얇은 고무 제품이다. 여성용 콘돔(페미돔)은 여성의 질에 맞게 제조된 콘돔으로, 질 전체를 고무 장벽으로 덮어 정자가 경부로 들어갈 수 없도록 한다. 남성용 콘돔보다 두꺼워서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성 성병을 예방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다이아프램은 경부의 마개 역할과 살정제의 저장고 역할을 한다. 고정이 정확하지 않으면 정자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살정제 크림이나 젤을 다이아프램 내에 넣어 주어야 한다. 살정제는 질 내에서 보통 2시간 효과가 있으므로 성교 시마다 살정제를 투입해야 한다. 다이아프램은 매번 사용 전에 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고, 매 2시간마다 교체해야 한다. 체중 변동이 20% 이상이거나 복부나 골반 수술 후, 매 임신 후에는 교정이 필요하다.
경부캡은 컵 모양의 고무 제품으로 경부에 꼭 끼도록 씌우는 피임도구이다. 하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피임스펀지는 1g의 nonoxynol-9라는 살정제를 적신 일회용 폴리우레탄 스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