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원생생물 세포 관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원생생물 관찰
1.1. 원생생물의 정의와 특징
1.2. 원생생물의 분류
1.3. 원생생물의 기원
2. 실험 방법
2.1. 실험 재료 및 준비물
2.2. 원생생물 관찰 방법
2.3. 효모 관찰 방법
3. 관찰 결과
3.1. 관찰한 원생생물의 종류와 특징
3.2. 효모 세포의 관찰 결과
4. 고찰
4.1. 메틸렌 블루 염색의 원리
4.2. 현미경 관찰 시 유의사항
4.3. 원생생물과 효모 관찰의 어려움
5. 과제
5.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
5.2. 관찰한 원생생물의 특징 정리
5.3.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의 차이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원생생물 관찰
1.1. 원생생물의 정의와 특징
원생생물은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단세포 생물이다. 진핵세포는 핵막으로 둘러싸인 핵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세포 소기관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달리 원핵세포인 세균은 핵막이 없는 단순한 구조의 세포이다. 따라서 원생생물은 세균보다 진화적으로 더 발달된 생물로 볼 수 있다.
원생생물은 단세포이지만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편모, 섬모, 위족 등 다양한 운동기관으로 이동하며, 광합성, 종속영양, 내부 기생 등 다양한 영양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일부 종은 다세포 군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처럼 원생생물은 매우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생명체의 기원과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원생생물은 크게 3개의 주요 문으로 분류되는데, 위족편모충문, 포자충문, 유모충문이 그것이다. 위족편모충문에는 아메바, 유글레나 등이, 포자충문에는 말라리아 원충 등이, 유모충문에는 짚신벌레, 콜피디움 등이 포함된다. 각 문은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종간 구분이 뚜렷하다. 이러한 다양성은 원생생물이 매우 오랜 기간 진화해왔음을 보여준다.
원생생물의 기원은 추정컨대 진핵세포에서 분화되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진핵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독립된 세균에서 유래했다는 세포 내 공생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원생생물이 진화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원생생물은 더욱 단순한 원핵세포에서 진화해 나온 생물로 간주할 수 있다.
1.2. 원생생물의 분류
원생생물은 진핵생물역에 속하며, 위족편모충문, 포자충문, 유모충문 등으로 분류된다. 조류와 원생동물로 크게 구분되는데, 조류는 대부분 광합성을 하는 생물들이며 엽록소를 가지고 있다. 반면 원생동물은 위족, 편모, 섬모 등을 이용하여 이동하고 먹이를 포식하는 종이 대부분이다.
조류는 유글레나류, 쌍편모조류, 황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녹조류 등이 있다. 유글레나류는 편모를 가진 단세포 생물로, 빛이 있으면 광합성을 하지만 빛이 없으면 유기물을 흡수하는 종속영양생물이 된다. 쌍편모조류는 두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담수와 해양에 서식한다. 황녹조류와 갈조류는 대부분 해양에 서식하는 다세포 생물이며, 엽록소 외에 다른 색소체를 가지고 있어 각각 노란색과 갈색을 띠는 특징이 있다. 홍조류 또한 대부분 해양에 서식하는 다세포 생물로, 엽록소 외에 홍조소라는 독특한 색소체를 가지고 있어 붉은색을 띤다. 녹조류는 담수와 해양에 서식하며 단세포, 군체, 다세포 생물 등 다양한 무리가 포함된다.
원생동물은 편모충류, 아메바류, 섬모충류, 포자충류, 부기저체류 등으로 구분된다. 편모충류는 육질편모충류, 중복 편모충류, 운동핵편모충류 등이 있으며, 주로 위족을 이용하여 이동하고 먹이를 섭취한다. 아메바는 위족을 내어 움직이며 세균이나 다른 생물을 포식하는 종속영양생물이다. 섬모충류는 섬모를 이용하여 이동하고 먹이를 섭취하는데, 짚신벌레가 대표적인 예이다. 포자충류는 주로 기생생물로, 성숙기에는 운동성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부기저체류는 점액질 기저체를 분비하여 이동하는 원생동물이다.
이처럼 원생생물은 형태와 기능, 생활양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이를 통해 각 종들의 진화적 관계와 생태학적 지위를 유추할 수 있다. []
1.3. 원생생물의 기원
진핵생물은 핵막으로 둘러싸인 핵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세균이 세포 내에 공생하면서 진화한 것이다. 이러한 세포내공생설에 따르면, 진핵세포의 기원은 고세균과 세균의 공생에서 시작된다. 원핵생물인 세균이 세포 내부로 들어오면서 점차 세포 내 소기관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이는 곧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기원이 된다. 따라서 진핵생물의 진화는 원핵생물의 공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진핵생물 중 원생생물은 이러한 진핵세포의 기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생물군이다. 원생생물은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지닌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어 진핵생물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특히 유글레나와 같은 일부 원생생물은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하는데, 이는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가 세포 내 공생에 의해 발달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또한 아메바와 같은 원생동물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유기물을 섭취하는 섭식 방식을 보이는데, 이는 진핵생물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점차 자가영양에서 종속...
참고 자료
최신미생물학/김영재/월드사이언스/2009/27page~29page
일반미생물학(개정판)/김창한 외 6명/유한문화사/2001/55page~65page,90page~95page
두산백과–짚신벌레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6964
두산백과-유글레나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019
두산백과-아메바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0733
콜피디움 : https://www.ebiomedia.com/colpidium-rabbit-of-the-microcosm.html
J.H. Postlethwait & J.L. Hopson, 생명과학(Explore Life 1st ed),광림사(THOMSON), 2003, 243-244,247-248, 265-273
심규철 외 5인, 고등학교 생명과학 Ⅱ, 비상교육, 2012, 255-267
Julia Burdge, 일반화학, 청문각, 2017, 313-314,320-322
오근영, 1988, 지방 염색법에 대한 고찰, 대한임상병리사회지: 제 20권 제 1호, 66-72
Pubchem, “ninhydrin”, https://pubchem.ncbi.nlm.nih.gov/compound/Ninhydrin,2020-06-12
Google, “ninhydrin reaction”, https://iubmb.onlinelibrary.wiley.com/doi/pdf/10.1016/0307-4412%2878%2990153-X,2020-06-12
[네이버 지식백과] 메틸렌블루 [methylene blue] (두산백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짚신벌레 [paramecium]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2012,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유글레나 (두산백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진핵 세포 [眞核細胞, eukaryotic cell] (과학용어사전, 2010.4.14, 뉴턴코리아)
[네이버 지식백과] 원핵세포 [procaryotic cell, 原核細胞] (두산백과, 두산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A7%84%ED%95%B5%EC%84%B8%ED%8F%AC(진핵세포)
[네이버 지식백과] 아메바 [amoeba] (두산백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짚신벌레 [slipper-animalcule] (두산백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유글레나[속] [Euglena, 〜[屬]] (생명과학대사전, 2008.2.5, 아카데미서적)
http://blog.naver.com/cellkty?Redirect=Log&logNo=150151864917(Colpidium)
http://blog.naver.com/go3952?Redirect=Log&logNo=80100762721
http://www.microscope.wo.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