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통대 간호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연구 개요
1.1. 양적 연구방법의 특성
1.1.1. 체계성
1.1.2. 통제성
1.1.3. 경험성
1.1.4. 일반성
1.2. 양적 연구의 개념과 한계
2. 연구대상자 보호
2.1. 연구대상자의 알 권리
2.2. 연구대상자에게 알려야 할 사항
3. 연구문제 평가 기준
3.1. 연구문제의 중요성
3.2. 연구 가능성
3.3. 연구의 수행 가능성
4. 변수의 척도 수준
4.1. 통증 강도
4.2. 혈액형
4.3. 체온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연구 개요
1.1. 양적 연구방법의 특성
1.1.1. 체계성
미리 설정된 계획에 따라 단계별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체계성이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고 정의하며 가설을 세운 뒤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 체계적인 연구 과정이다. 연구문제의 해결과 관련 없는 변수들의 영향을 제거하고 오류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통제성이다. 객관적인 현실에 기초하여 감각을 통해 수집된 증거가 지식생성의 기초가 되는 것이 경험성이다. 경험적 자료에서 얻은 사실로부터 공통 원리를 찾아내어 보편성과 일반적 설명력을 갖추는 것이 일반성이다.
1.1.2. 통제성
통제성은 연구문제의 해결과 관련 없는 변수들의 영향을 제거하고 오류의 가능성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해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를 연구할 때, 직접적 원인을 제외한 다른 원인을 통제함으로써 편견을 최소화하고 타당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실험연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하여 독립변수 외의 외생변수를 최대한 통제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관찰연구에서는 관찰 환경 및 관찰자의 편향을 최소화하는 등의 통제 장치를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한다. 결국 통제성은 양적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핵심적인 특성이라 할 수 있다.
1.1.3. 경험성
경험성은 객관적인 현실에 기초하여 인간의 감각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수집된 증거가 지식생성의 기초로 이용되는 과정이다. 이것은 과학적 조사의 결과가 연구자의 편견이나 믿음보다는 현실에 기초하도록 하며, 연구 상황에 어느 정도 객관성을 부여한다. 대부분 경험적 감정은 시각, 청각, 미각, 촉각 또는 지각과 같은 감각기관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양적 연구방법에서 경험성은 중요한 특성이 된다. 실제로 연구를 통해 관찰되고 측정된 데이터가 연구 결과의 기초가 되며, 이를 통해 연구자의 편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험성은 양적 연구방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1.1.4. 일반성
일반성은 과학의 특성 중 하나이다. 양적 연구에서는 특정 대상이나 현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경험적 자료로부터 공통된 원리나 법칙을 찾아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구 결과의 보편성과 일반적 설명력을 확보할 수 있다.
예...
참고 자료
이상미·정성희(2019).『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박영숙,김정희 공저(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39,40,70-76,134-136,149
신나연, 강윤희. (2019).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구내염,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과학회지, 49(2), 149-160.
이상미, 정성희 공저(2015). 노인간호학. 방송대 출판문화원.
이상미, 정성희 공저(2015). 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박영숙, 김정희 공저(2018).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장희경, 김윤수 외 2명 저(2016). 간호연구개론. 계축문화사.
이은옥(2010). 간호연구와 통계분석.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