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판소리란 무엇인가
1.1. 판소리의 정의
판소리는 한 사람의 창자가 한 고수의 북 장단에 맞추어 긴 서사적인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 발림(몸짓)을 곁들이며 구연하는 창악적 구비서사시이다. 창자와 고수, 청중이 삼위일체가 되어 호흡함으로써만 성공적인 판소리 연행이 가능하다. 창자는 단가로 청중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본사가인 판소리를 부르며, 고수는 창자의 연행 사이사이에 적절한 추임새를 넣어 흥을 돋운다. 청중 또한 호응하며 연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쌍방향의 교감으로 판소리판을 완성시킨다. 창자의 역량, 즉 인물, 사설, 음악성, 연극성이 판소리의 핵심이 된다.
1.2. 판소리의 구성요소
판소리는 창자, 고수, 청중이 삼위일체가 되어 호흡하며 연행되는 예술이다. 창자는 소리(노래)와 아니리(말), 발림(몸짓)을 통해 긴 이야기를 구연하는 주된 역할을 담당한다. 고수는 북 반주로 창자의 소리를 뒷받침하며, 추임새를 통해 청중의 흥을 돋운다. 청중 또한 추임새와 박수 등으로 적극 참여하며 현장감 있는 공연을 완성한다. 창자의 역량이 가장 중요하여, 인물, 사설, 발음, 발림 등 다양한 면모를 두루 겸비해야 한다. 이처럼 판소리는 창자, 고수, 청중이 모두 연행의 주체가 되어 상호 작용하며 펼쳐지는 살아 있는 종합 예술이다.
2. 판소리의 명칭과 기원
2.1. 판소리의 명칭
판소리는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어왔다. 옛 문헌에서는 판소리를 본사가(本事歌)·타령(打令)·잡가(雜歌)·극가(劇歌)·창가(倡歌)로 적기도 했지만, 이는 판소리를 가리키는 고유명칭이 아니었다. 타령·잡가는 속악(俗樂)이라는 뜻이며 극가는 극적인 노래라는 뜻이고 창가란 광대가 부르는 노래라는 뜻이었다. 현재 '판소리'라는 명칭이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이는 판(多數가 모여 어떤 일을 벌리는 곳이나 정황, 행위 자체를 뜻함)과 소리(音樂을 뜻함)가 결합된 용어로, 다수의 청중이 모인 판놀음에서 불리는 성악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판소리는 본래 國樂의 한 장르였지만, 그 사설의 중요성 때문에 국문학의 한 갈래로도 다루어지고 있다.
2.2. 판소리의 기원 설
판소리의 기원과 관련하여 학계에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제시되어 왔다. 먼저 설화 기원설이다. 이는 판소리의 사설(대본)이 오래된 설화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이다. 춘향가, 심청가 등 판소리 작품의 소재가 예부터 전해져온 민간 설화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판소리의 소재적 근원을 찾는데는 기여했지만, 판소리의 독특한 갈래적 특징을 설명하기에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광대 소학지희 기원설이다. 이는 판소리가 궁중의 나례에서 공연된 규식지희(규격화된 놀이)와 소학지희(웃음과 해학의 놀이)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이다. 특히 소학지희에 참여했던 광대들이 판소리의 기반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견해는 판소리와 민속예능의 관련성을 시사하지만,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판소리가 성행한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지는 못한다.
또한 중국의 강창문학 영향설도 제기되었다. 이는 중국의 구연문학 전통이 판소리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