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애인개념적모델에대해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장애인의 개념적 모델
2.1. 개별적 모델
2.2. 사회적 모델
3. 개별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차이점
4.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 방안
4.1. 교육과 인식 캠페인
4.2. 긍정적인 대중 매체 표현
4.3. 접근 가능한 환경 조성
4.4. 고용 기회 제공
4.5. 장애인과의 상호작용 증진
4.6. 정책 및 법률 강화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여성과 남성, 미성년과 성년 그리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할 것은 장애인에 대한 키워드이다. 장애인을 보는 관점은 개별적인 것이 있고 사회적인 것이 있다. 이 두 가지는 개념적 모델을 이루고 있는 장애인의 개념이다. 이 개별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그리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꿀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2. 장애인의 개념적 모델
2.1. 개별적 모델
개별적 모델은 장애를 개인의 신체나 정신적 능력의 문제로 간주하며, 개인이 스스로 이를 극복하고 사회에 적응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개별적 모델에서는 장애인 개인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훈련과 재활을 통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애인 개인의 문제로 보기 때문에 사회 환경의 변화보다는 개인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에 따라 개별적 모델에서는 장애인 개인의 독립성, 자립성, 사회 적응력 향상에 주력하며,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이나 배제 문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게 된다. 그리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보다는 전문가의 개입과 지원을 통해 장애인 개인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힘쓴다. 이처럼 개별적 모델은 장애를 개인의 문제로 간주하고 이에 대한 치료와 재활에 주목하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2.2. 사회적 모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모델은 장애를 개인의 문제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한다. 장애인의 권리와 참여를 보장하고, 그들을 위한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강조한다.
사회적 모델은 장애를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와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장애인이 겪는 어려움은 단순히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한계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을 배제하고 차별하는 사회적 태도와 제도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적 모델은 장애인의 사회 참여와 권리를 보장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캠페인을 통해 장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대중매체에서 장애인을 긍정적으로 묘사해야 한다. 또한 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고, 장애인의 고용 기회를 확대하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상호작용을 증진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의 권리와 차별 금지를 강화하는 정책과 법률을 마련하여 장애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사회적 참여를 장려해야 한다.
이와 같이 사회적 모델은 장애인을 개...
참고 자료
서중원, 『나, 함께 산다』, 오월의 봄, 2018
노혜련김〮윤주, 『강점관점 해결중심 사례관리』, 학지사, 2016
김효진, 『특별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호호 아줌마의 장애 인권 이야기』, 웃는 돌고래, 2017
직장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포털 https://edu.kead.or.kr/aisd/info/AisInfo1.do?menuId=M1021
장애인 권리 및 참여를 위한 국제협약 현황. (2019).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2019). 장애인 인식개선 캠페인.
장애인의 인식개선을 위한 방안. (2021). 한국장애인개발원 보도자료.
이태선, 이효성. (2016). 장애인의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1(1), 77-85.
허정. (2014). 장애인의 인식개선을 위한 사회적 대우 방안. 지적재산권, 16(2), 273-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