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혈액의 일반적 구성과 기능
혈액은 밀폐된 혈관 속을 순환하는 일종의 조직으로 체액인 세포 생명과 분리해 생각할 수 없다. 즉 혈액은 생명을 의미한다. 출혈이 있을 때 사람은 두려움을 느끼게 되고 위험과 공포에 싸이게 되는데, 이는 출혈로 인해 심장의 활동이 약화되어 맥박을 감지할 수 없게 되면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사람이 살아 있다는 것은 쉴 새 없이 순환이 지속하여 각 조직에 영양물질과 신선한 공기를 운반하며 아울러 대사현상의 결과로 생산된 노폐물을 혈액을 통해 배출하는 현상을 의미하므로 혈액은 생존을 위해 없어선 안 될 물질이다. 혈액의 조성은 약 55%의 체액 성분인 혈장과 약 45%의 유형 성분인 혈구로 되어있다. 혈장은 92%가 수분이고 6.5~7%가 수용성 단백질인 혈장단백질, 나머지 1~1.5%는 무기염류, 효소, 호르몬, 비타민, 지질 및 탄수화물로 되어있다. 유형 성분인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구성된다. 혈액을 채혈하여 공기 중에 그대로 내버려 두면 두 층으로 분리되는데, 이는 혈액 내의 각 성분의 비중 차이에 의한 것이다. 정상 성인의 혈액비중은 전혈 남자 1.052~1.063, 여자 1.050~1.058, 혈장 1.023~1.032, 적혈구 1.090~1.200이다. 혈액의 일반 기능은 운반작용, 조절작용, 방어 및 식균작용, 지혈 작용이다. 운반작용으로는 영양소, 가스, 노폐물, 호르몬 등을 운반한다. 조절작용은 수분, 온도,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방어 및 식균작용은 백혈구가 외부로부터 들어온 박테리아나 이물질을 잡아먹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혈 작용은 출혈이 있을 때 혈소판이 파열되면서 혈장 속의 혈액 응고 인자와 결합하여 지혈시키는 것이다.[1,2]
1.2. 림프계의 역할과 기능
림프계통은 조직액을 혈액순환으로 운반하는 보조계통으로서 순환계의 일부이다. 림프계통은 조직공간에서 조직액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림프구의 활동을 도와 감염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한다. 림프계통은 모세림프관, 림프관, 림프관 줄기, 림프샘으로 구성되어 있다. 림프의 기능은 모세혈관에서 새어 나온 물이나 단백질 분자 등을 운반하여 혈액으로 되돌려보내는 것이다. 그러나 림프관이 폐쇄되면 단백질의 환류가 장애를 받아 혈장단백질의 농도 및 혈액의 교질 삼투압이 정상 이하로 떨어지며 체액의 불균형에 의한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림프는 조직액에 들어갈지도 모르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물질을 림프샘으로 운반하여 정맥에 유입되기 전에 걸러내는데, 박테리아는 쉽게 걸러내지만 바이러스는 대부분이 그대로 통과된다.
2. 혈액의 성분
2.1. 혈장의 구성과 역할
혈액은 약 55%의 체액 성분인 혈장과 약 45%의 유형 성분인 혈구로 구성되어 있다. 혈장은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단백질, 무기염류, 효소, 호르몬, 비타민, 지질 및 탄수화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