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노년층 담관담석 환자가 최근 7년 새 40% 증가하였다. 특히 노년층에서 담관염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나 잦은 체기나 감기 몸살 증상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담관염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자 이 주제를 선정하였다. 실습병동에서도 많은 고령 환자들이 겪고 있는 소화기 질병 중 하나가 담관염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1.2.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8년 5월 8일부터 5월 11일까지 조선대학교 병원 ER에 입원한 이○○님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와 보호자의 면담, 신체검진과 문진, 임상검사결과, 환자의 KARDEX, 의료인들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2. 문헌고찰
2.1. 담관염의 정의
담관염은 급성이나 만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염증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담관염은 급성 담관염을 의미한다. 담즙흐름의 부분적 폐쇄로 인한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이 있는 경우 초기 약 75% 정도의 환자에서 담즙 배양으로 세균이 검출된다. 특징적인 임상양상으로는 담도산통, 황달, 오한을 동반한 고열 등이 나타난다.
2.2. 원인 및 위험 요인
담관염은 성별, 연령, 기저질환 등에 따라 발병률이 달라지며, 여성과 고령층에서 더 흔히 발생한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담관염 발병률이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담관염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간경화, 빈혈, 고지혈증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비만과 당뇨병 환자에서도 담관염 발병 위험이 높다. 이처럼 성별, 연령, 기저질환 등이 담관염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2.3. 병태생리
총담관결석증 및 여러 가지 원인으로 담관(biliary tract)에 폐색이 생기면 담즙의 배출에 장애가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 박테리아가 증식하면서 담관에 염증이 생기게 된다. 담관의 부분적 또는 완전 폐쇄가 되었을 때 담관염이 발생한다. 그 원인으로는 첫째, 담관의 외부압박으로 인해 부분적 또는 완전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간담도계의 기생충 감염증으로 인해 담도계에 기생충이나 충란들이 감염되어 만성적인 재발성 화농성 담관염을 일으킬 수 있다. 셋째, 경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