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지원사 위치 모니터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생활지원사 위치 모니터링
1.1. 장애인 인권 관련 법
1.2. 장애 유형
1.3. 장애인 차별 관련 이론
1.4. 장애인 차별 관련 이론에 기반한 국내 사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생활지원사 위치 모니터링
1.1. 장애인 인권 관련 법
장애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차별을 금지하기 위한 법은 한국과 국제적인 수준에서 존재한다. 국가와 국제적 차원에서 장애인의 인권과 관련된 법률과 정책이 있으며, 이는 국제적인 협약과 조화를 이루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국제적 수준에서는 2006년 장애인 권리에 대한 유엔 협약이 있다. 이 협약은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차별을 없애며,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애인의 독립적인 삶, 교육, 건강, 일, 참여 등에 대한 권리를 포함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장애인의 인권과 존엄성을 보장하고, 자립 및 사회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기본적인 원칙과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 장애인 기본법,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며 구제 방안을 제시하는 장애인 차별 금지 및 권리 구제 등에 관한 법률, 장애인의 복지 증진과 생활 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및 서비스를 규정하는 장애인복지법, 장애인의 적절한 고용과 직업재활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과 지원을 다루는 장애인 고용 촉진 및 직업재활법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법률들은 장애인의 인권과 권리를 보장하고, 차별을 해소하며, 자립과 사회참여...
참고 자료
행복한 오늘' 전민선 대표 "장애 가진 사람들이 배제되지 않고 함께 살아갈 수 있었으면">, 김상록, 한국면세뉴스, 2023.08https://www.kdf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898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권익증진의 조건>, 이병화, 장애인뉴스, 2017
http://www.welvoter.co.kr/23288
김영애, 이금진, 이병화 (2019). 장애인복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임종호 (2020), 장애인복지론. 학지사
김도현(2021), 죽거나 혹은 나쁘지 않도록. 한겨레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