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주시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사회 보건의료계획 개요
2.1. 청주시 보건의료계획의 배경 및 목적
2.2. 주요 보건의료계획 정책방향
3. 청주시 상당보건소의 이해
3.1. 상당보건소 소개 및 조직
3.2. 상당보건소의 보건행정기구
3.3. 상당보건소의 조직망
4. 지역사회 건강문제 분석
4.1. 인구 및 건강현황 분석
4.2. 환경특성 및 보건의료자원 분석
4.3. 지역사회간호진단
5.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5.1. 프로그램 개요 및 계획
5.2. 프로그램 수행 및 평가
6. 결론 및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보건소는 국민의 건강증진과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지역사회에 설치되어 있다. 보건소법에 따르면 보건소는 지역주민의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보건소는 지역사회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주민의 건강요구도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청주시 상당보건소도 지역사회 보건의료계획에 따라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상당보건소는 청주시의 보건행정을 담당하고 있으며, 소속 공무원들이 지역주민의 건강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청주시 상당보건소의 현황과 지역사회 건강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지역사회 보건의료계획 개요
2.1. 청주시 보건의료계획의 배경 및 목적
청주시는 국내 최초로 WHO 인증 건강도시라는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이는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노력해 온 결과이다. 청주시 보건의료계획은 지역사회 중심의 포괄적 예방서비스 활성화와 지역사회 건강관리체계 강화를 통해 '건강해서 더 행복한 청주'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정책방향은 공공보건의료 확충을 통한 시민건강 인프라 구축, 지역사회 중심의 포괄적 예방서비스 활성화, 그리고 지역사회 건강관리체계 강화이다. 이를 통해 보건의료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방문보건서비스 강화, 국내외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건강 100세를 위한 통합건강증진사업 확대, 치매 안심 도시 구축, 안전한 의료풍토 조성 등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청주시 보건의료계획은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수준 향상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2.2. 주요 보건의료계획 정책방향
청주시는 공공보건의료 확충을 통한 시민건강 인프라 구축, 지역사회 중심의 포괄적 예방서비스 활성화, 지역사회 건강관리체계 강화의 3가지 정책방향을 수립하고 있다.
첫째, 공공보건의료 확충을 통한 시민건강 인프라 구축이다. 이를 위해 보건시설 개선, 고령화 사회에 따른 맞춤형 방문보건서비스 강화, 국내외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등을 추진한다.
둘째, 지역사회 중심의 포괄적 예방서비스 활성화이다. 이를 위해 건강 100세를 위한 통합건강증진사업 강화, 금연·절주·운동·대사증후군 관리 사업 강화, 생명존중 및 마음치유 사업 강화 등을 추진한다.
셋째, 지역사회 건강관리체계 강화이다. 이를 위해 건강하고 품위 있는 노후생활 보장, 치매 안심 도시 구축, 의·약업소 관리 강화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청주시는 '건강해서 더 행복한 청주'를 구현하고자 한다.
3. 청주시 상당보건소의 이해
3.1. 상당보건소 소개 및 조직
상당보건소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는 보건의료기관이다. 2003년 청주시보건소가 청주시상당보건소로 개편되면서 신설되었다. 시민의 건강관리를 증진하고 보건민원 처리와 진료 및 질병예방 활동, 예방접종 및 방문보건 사업을 실시한다. 기초진료 및 보건교육, 감염병 예방관리, 건강증진사업 수행과 동시에 모든 시민이 양질의 건강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무료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내부혁신을 바탕으로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며, 항상 정성을 다해 시민의 요구에 부응하는 보건행정서비스를 충실히 구현한다. 1963년 청주시 보건소가 개청된 이래 1995년 청주에 상당구, 흥덕구 등 2개 구가 신설되면서 각 구마다 1개씩 보건소가 설치되었고, 2003년 4월 청주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제정으로 청주시 보건소가 청주시 상당보건소로 개편되었다. 상담전화는 043)201-3116~3118이며, 이용시간은 월~금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고, 점심시간은 12시부터 13시까지이다.
3.2. 상당보건소의 보건행정기구
상당보건소의 보건행정기구는 다음과 같다.
운영지원과는 보안 및 청사방호, 관인 및 관인대장 관리, 공무원 급여 및 후생복지, 기록물의 관리와 기준표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홍보기획담당관은 보건복지정책 정보 및 상황 관리, 대외 정책발표 및 언론보도 모니터링, 주요 정책에 대한 대국민 홍보 업무를 담당한다. 감사관은 보건복지부와 소속기관에 대한 감...
참고 자료
황진영, 강희택. 성인 예방접종 바로 알기. 2020; 10(5), 324-331. Available from: doi:10.21215/kjfp.2020.10.5.324
양승경, 하영미, 정미라, 조정의, 한상미, 채여주. 연령별 성인의 인구학적·사회경제적 특성과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관계: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2016-2018). 2022; 16(2), 87-98.
차혜경, 류언나, 박성희. 예방접종 불이행 부모의 예방접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2;29(1): 89-96.
정희진. 성인 예방접종. 2013; 84(4), 509-511. Available from: doi:
http://dx.doi.org/10.3904/kjm.2013.84.4.509
박보현, 한혜진, 김남은, 박보미, 이선화, 이혜아, 최희정, 조수진, 박혜숙.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접종취약 계층별 예방접종 미접종 사유. 2018; 44(3), 41-51. Available from: doi:10.22900/kphr.2018.44.3.004
정선락, 김유미, 김경희, 남행미, 이원기.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접종 시행의 영향 요인. 2018; 12(2), 63-73. Available from: doi:https://doi.org/10.12811/kshsm.2018.12.2.063
서소미,and 이인숙. 2017. "일 지역 종합병원을 방문한 대상포진 권장대상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접종 인식정도가 이행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 (8): 933-946.
오향옥 (Hyang-ok Oh), and 이지현(교신저자) (Ji-hyun Lee). 2016.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지식, 건강신념이 대상포진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42 (2): 17-29.
김윤이, 최미숙.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2020; 18(8), 301-310. Available from: doi:https://doi.org/10.14400/JDC.2020.18.8.301
오향옥. 2017.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행위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국내박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통계청 e- 지방지표
https://kosis.kr/visual/eRegionJipyo/themaJipyo/eRegionJipyoThemaJipyoView.do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easyViewStatis/customStatisIndex.do?vwcd=MT_TM2_TITLE&menuId=M_03_02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실
https://chs.kdca.go.kr/chs/recsRoom/dataBaseMain.do
청주시청- 분야별정보- 보건/체육- 지역보건의료계획
https://www.cheongju.go.kr/www/pbhlthScheduleInfo.do?key=378&hsptlNo=0
청주시 보건소 제 7기 지역보건계획의료계획 중장기 계획(2019~2022년)
질병관리청_예방접종정보_예방접종 대상 감염병_대상포진
https://nip.kdca.go.kr/irhp/infm/goVcntInfo.do?menuLv=1&menuCd=1217 질병관리청_예방접종도우미_예방접종 알림터_자주묻는 질문
https://nip.kdca.go.kr/irhp/remd/goVcntNtfc.do?menuLv=2&menuCd=241
지역사회간호학 이론과 실제, 김광숙, 현문사, 2019
통계청 http://kostat.go.kr/
흥덕구보건소 https://www.cheongju.go.kr/hdhealth/index.do?introCheck=check
흥덕구청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index.es?sid=a2
지역사회건강조사 https://chs.kdca.go.kr/chs/index.do
국민건강영양조사 https://knhanes.kdca.go.kr/knhanes/main.do.
치매안심센터(흥덕구) https://heungdeok.nid.or.kr/main/main.aspx
청주시 통계정보시스템 https://www.cheongju.go.kr/stat/index.do
중앙치매센터 https://www.nid.or.kr/info/today_list.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