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서혜부 탈장 케이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 서혜부 탈장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례 대상자 소개
1.2. 서혜부 탈장의 정의와 발생 원인
1.3. 서혜부 탈장의 임상적 특성

2. 질병 고찰
2.1. 서혜부 탈장의 병태생리
2.2. 서혜부 탈장의 증상 및 진단
2.3. 서혜부 탈장의 치료 방법

3. 간호 중재
3.1. 수술 전 간호
3.2. 수술 후 간호
3.3. 감염 예방 간호
3.4. 통증 관리 간호
3.5. 낙상 예방 간호

4. 검사 및 약물요법
4.1. 진단검사 결과
4.2. 처방약물 및 간호

5. 성장과 발달
5.1. 신체 발달 사정
5.2. 운동 발달 사정
5.3. 언어 및 사회성 발달 사정

6. 간호과정 적용
6.1. 감염 위험 관련
6.2. 설사 및 영양상태 관련
6.3.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 관련
6.4. 체액불균형 위험 관련

7. 결론
7.1. 간호과정 평가
7.2. 간호사의 역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 대상자 소개

대상자는 생후 35주 3일에 2.29kg의 저체중 조산아로 태어난 여자 환아이다. 시험관 아기이자 두 명의 쌍둥이 중 첫째로 태어났다. 신생아 황달과 흉부함몰 등으로 25일 간 소아과에 입원하였고, 서혜부 탈장이 발견되었다. 내원 약 1개월 전 좌측 서혜부 탈장이 의심되어 초음파 검사를 하였고, 양측 서혜부 탈장 진단을 받았다. 이후 복강경 양측 서혜부 탈장 교정술 및 양측 고환 적출술을 위해 입원하였다.

대상자는 현재 만 1세 여자 아동으로, 전신마취 하에 복강경 양측 서혜부 탈장 교정술과 양측 고환 적출술을 받았다. 수술 전 고열, 설사, 기저귀 발진, 식욕 부진 등의 주요 증상이 있었으며, 수술 후에도 감염의 위험, 피부 통합성 장애, 체액 불균형 등의 간호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대상자의 성장과 발달 정도는 전반적으로 정상 범위에 해당하나, 일부 영역에서 지연 소견을 보이고 있다.


1.2. 서혜부 탈장의 정의와 발생 원인

서혜부 탈장은 복강 안의 장기가 복벽의 약한 부분 중 서혜부(사타구니) 주위를 통해 빠져 나오는 질환이다. 선천적으로 막혔어야 하는 서혜부 관(복강에서 사타구니를 거쳐 음낭으로 연결되는 길)이 열린 채로 남아있는 상태에서 복압이 올라가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 보통 복강 내 압력의 상승은 아기가 배에 힘을 주고 울거나 숨을 깊이 들이쉴 때와 같이 배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발생한다. 여아의 경우 난소가 복강 밖으로 내려오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배 안에서 서혜부로 이어지는 길이 형성되며, 이 길이 막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있게 되면 배 안의 장기가 길을 따라 빠져나올 수 있게 되고 이를 서혜부 탈장이라고 한다. 따라서 서혜부 탈장은 복강 내압 상승으로 인해 복강 내 장기가 약한 부위인 서혜부를 통해 빠져나오는 질환이다.


1.3. 서혜부 탈장의 임상적 특성

서혜부 탈장은 주로 남아에게 호발하며, 특히 미숙아에게 많이 발생한다. 탈장은 흔히 오른쪽에 60%, 왼쪽에 30% 발생하며, 양측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10%에 이른다. 양측성 탈장은 미숙아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

탈장이 발생하면 아기가 울거나 숨을 깊이 들이쉴 때와 같이 복압이 올라가는 경우에 탈장이 눈에 띄게 된다. 서혜부에 부드럽고 둥근 모양의 종괴가 나타나며, 이를 누르면 들어갈 수 있다. 통증은 일반적으로 동반되지 않지만, 탈장의 내용물이 감돈되어 혈액 공급이 차단되면 심한 통증과 구토, 발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서혜부 탈장의 진단은 주로 신체 진찰을 통해 이루어지며, 때로는 초음파나 CT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다. 남아의 경우 검지를 탈장이 나오는 바깥 구멍에 넣어 고환을 함입시키면 탈장낭을 더 잘 확인할 수 있다.

서혜부 탈장의 치료는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다. 수술은 전신 마취 하에 복강경 또는 개복술로 진행되며, 탈장낭을 제거하거나 봉합하여 복벽을 보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 후 합병증 없이 아이가 빠르게 회복된다. 하지만 감돈이 된 상태에서 수술한 경우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다.


2. 질병 고찰
2.1. 서혜부 탈장의 병태생리

태아가 자궁 내에 있을 때는 고환이나 난소가 태아의 후복강에 위치하나 태아가 자궁 내에서 성장하면서 점차 고환이 서혜부를 타고 내려와서 음낭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에 고환이 내려온 길이 막히는 것이 정상이나, 일부에서는 이 길이 열린 상태로 태어나 서혜부 탈장이 형성된다. 간접 서혜부 탈장은 발생 시 정상적으로 닫혀야 하는 procesus vaginalis가 폐쇄되지 않아서 이곳으로 탈장되는 경우로, 탈장의 주머니(sac)가 안쪽 샅굴구멍(internal inguinal ring)을 지나 외측 샅굴구멍(external inguinal ring)쪽으로 주행하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간접 서혜부 탈장은 하복벽 혈관의 바깥쪽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감돈이 생길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한편, 직접 서혜부 탈장은 안쪽 샅굴구멍의 내측, 아래 배벽 혈관의 하부(inferior epigastric vessels)로 직접 탈장되는 경우로 서혜관의 바닥쪽이 약해서 생기는 후천성 질환이다. 직접 탈장은 하복벽 혈관의 안쪽에서 진행되므로 감돈이나 교액성 탈장은 거의 없다. 따라서 직접 서혜부 탈장과 간접 서혜부 탈장의 차이는 횡복근막(transversalis fascia)을 직접 뚫고 나오느냐 아니냐의 차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병태생리로 인해 서혜부 탈장이 발생하고 합병증의 위험이 존재한다.


2.2. 서혜부 탈장의 증상 및 진단

서혜부 탈장은 출생 직후 발견되기도 하지만, 일부 경우 몇 주 또는 몇 달이 지나서야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아기가 울 때나 숨을 깊이 들이쉴 때와 같이 복압이 올라가면 탈장이 눈에 띄게 나타난다. 서혜부에 튀어나온 부풀어오른 덩어리나 종괴가 관찰되며, 이는 아기가 울거나 힘을 줄 때 더 두드러지게 보인다. 하지만 아기가 잠들거나 누운 자세에 있을 때에는 작아지거나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탈장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 있는 상태에서 기침하거나 배에 힘을 주도록 하여 서혜부를 촉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이때 부드럽고 둥근 표면의 덩어리가 튀어나오며, 힘을 주면 더욱 두드러지게 관찰된다. 또한 검지로 탈장이 나온 바깥 구멍에 집어넣어 고환을 밀어 넣어보면 탈장낭을 더욱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감돈 탈장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복부 CT 검사를 통해 장의 감돈 범위와 상태를 파악하기도 한다.

이처럼 서혜부 탈장은 병력과 증상, 진찰 소견 등을 종합하여 진단할 수 있다. 특히 복압을 높여 탈장이 튀어나오는 것을 관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진단 방법이다. 탈장된 장기의 상태와 감돈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영상검사를 활용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서혜부 탈장을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3. 서혜부 탈장의 치료 방법

서혜부 탈장은 그냥 두어도 다시 들어가는 경우가 많으므로 시간이 지나면 좋아지겠지 하고 기다리는 부모들도 간혹 있다. 하지만 어린 아기들의 탈장은 꼬이는 경우가 많아 탈장으로 진단받으면 반드시 수술하는 것이 원칙이다. 어린 아기일수록 가능한 빨리 수술을 해야 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전신 마취 하에서 진행한다. 대부분 영아에서 팬티 라인 아래쪽에 1.5cm 내외의 절개를 통해 수술이 가능하다. 탈장낭의 가장 고위부위, 즉 복벽 쪽에 가능한 가깝게 접근하여 탈장낭을 묶어주는 수술을 시행한다. 최근에는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도 이루어진다. 복강경 수술의 경우 반대 측 탈장이 강력히 의심되고 수술을 여러 번 하기 어...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 건강정보 > 의료정보 > 질환백과 > 서혜부 탈장
서울대학교병원 > 건강정보 > N의학정보 > 탈장[hernia]
한양대학교병원 > 바로 아는 건강정보 >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소아 서혜부 탈장의 모든 것
서울대학교병원 > 건강정보 > N의학정보 > 서혜부 탈장[inguinal hernia]
이수연 외,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p657, 수문사, 2019.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혜부 탈장,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54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서혜부 탈장,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21&diseaseKindId=C000008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소아의 연령별 생화학검사 참고치,
https://www.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pageIndex=2&menuId=558&contentId=112375&searchCondition=&searchKeyword
세브란스 건강정보 검사/치료, 백혈구수, 2020.11.09.,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treat_board.do?mode=view&articleNo=67004&title=%EB%B0%B1%ED%98%88%EA%B5%AC%EC%88%98
삼광의료재단, 소아 참고치 제공, p2-6, 2009.09.
The Royal Children’s Hospital Melbourne, 소아청소년 lab 정상 수치,
https://www.rch.org.au/home/
유투의료재단, 검사항목조회, https://www.u2labs.co.kr/information/checkList.do
송파구 보건소, 일반소변검사, 2021.09.07.,
https://www.songpa.go.kr/ehealth/contents.do?key=4504
최신 기본간호학 I&II, 수문사.
김영혜 외(2018).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김영혜 외(2018).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윤희옥 외. 아동간호학 Ⅱ 제2판(2016). 현문사
박호란 외. 근거기반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개정 증보판(2019). 현문사
송경애 외(2019).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신현주, 김영남, 김주희, 손인숙, & 방경숙. (2014). 입원 아동의 낙상 위험 예측 도구. 아동간호학회지, 20(3), 215-224.
박소연, & 주현옥. (2017). 아동낙상예방교육이 입원아동 보호자의 낙상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3(4), 398-408.
김예정. (2019). 소아 샅굴 탈장의 특징과 최신 치료경향.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2(2), 107-116.
조해련, 이정민, & 김신정. (2020). 입원 아동 대상 통증 완화 중재에 대한 통합적 고찰.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6(2), 254-266.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 복강경 탈장 클리닉, http://anam.kumc.or.kr/department/treatDeptDesc01.do?DP_CODE=AA072, 검색일: 2021. 07. 27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서혜부 탈장,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54, 검색일: 2021. 07. 27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 진료질환정보-탈장,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62, 검색일: 2021. 07. 27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 질환정보, 서혜부 탈장과 음낭수종, http://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955, 검색일: 2021. 07. 27
서울아산병원, 혈액검사항목, 간염검사, http://amc.seoul.kr/asan/depts/nm/K/bbsDetail.do?menuId=920&contentId=112064, 검색일: 2021. 07. 27
서울아산병원, 진단면역검사, http://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menuId=521&contentId=110487 검색일: 2021. 07. 27
서울아산병원, [참고치] 소아의 연령별 적혈구(RBC) 참고치, http://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pageIndex=1&menuId=558&contentId=112375&searchCondition=&searchKeyword=%EC%86%8C%EC%95%84 검색일 2021.07.27
서울아산병원, [참고치] 소아의 연령별 백혈구(WBC) 참고치, http://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pageIndex=1&menuId=558&contentId=112377&searchCondition=&searchKeyword=%EC%86%8C%EC%95%84 검색일 2021.07.27
서울아산병원, [참고치] 소아의 연령별 생화학검사 참고치, http://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pageIndex=1&menuId=558&contentId=112385&searchCondition=&searchKeyword=%EC%86%8C%EC%95%84 검색일 2021.07.27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http://guro.kumc.or.kr/dept/main/index.do?DP_CODE=GRCP&MENU_ID=003036050044 검색일 2021.07.27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탈장교정수술,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76 검색일: 2021. 07. 29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서혜부 탈장,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21 검색일: 2021. 07. 29
약학정보원, 이노엔하트만디액(1L),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4309 검색일: 2021. 07. 29
아주대학교병원, 질병정보, 전문의가 답하는 소아탈장 7문 7답, http://hosp.ajoumc.or.kr/HealthInfo/DiseaseView.aspx?ai=1431 검색일: 2021. 07. 29
하이닥 뉴스, 소아탈장 (5) 소아탈장 수술 시 주의점 및 수술 후 관리,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001823 검색일: 2021. 07. 30
병원간호사회, 낙상예방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검색일: 2021. 07. 30
질병관리청, 성장도표, 측정계산기,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8/sub08_04.do, 검색일: 2021. 08. 07
병원간호사회, 통증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검색일: 2021. 08. 07
김미예, 구현영. (2011).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서울: 군자 출판사.
김미예, 구현영. (2011.) 아동의 성장발달과 간호. 서울: 군자 출판사.
조결자, 송지호, 유일영, 박은숙. (2000). 손쉽고 편리한 아동간호진단. 서울: 현문사.
차영남, 장효순.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3판. 서울: 현문사.
S. R. JAMES. (2012). 원리와 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상. (송지호 외 옮김). 서울: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