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사체벌 허용에 찬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체벌의 장단점과 사용에 대한 찬반 의견
1.1. 체벌의 장점
1.2. 체벌의 한계점과 주의점
1.3. 체벌 사용에 대한 찬성 입장
1.4. 체벌 사용에 대한 반대 입장
1.5. 체벌에 대한 연구자의 견해
2. 아동의 잘못된 행동 수정을 위한 체벌 허용 여부
2.1. 체벌 허용의 필요성
2.2. 체벌 금지의 필요성
2.3. 체벌의 교육적 효과
2.4. 체벌과 아동인권 침해
2.5. 체벌의 부작용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체벌의 장단점과 사용에 대한 찬반 의견
1.1. 체벌의 장점
체벌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청소년이 비행을 체벌하는 것이 옳은 처사라고 보고 있으며 그 비행을 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체벌이 공정하게만 이루어진다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변형시키기 위하여 시도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둘째, 청소년들 중에는 장기적이고 긴장감이 가중되는 심리적 체벌보다는 체벌의 정도가 중간 정도이고 고통을 일순간 사라지는 체벌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체벌은 불쾌한 자극과 고통, 위험을 주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체벌을 받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곧 무엇보다도 행동통제의 효과가 금방 나타난다는 것이다. 넷째, 체벌의 기준으로써 체벌을 받아야하는 이유가 명백해서 어린이 스스로가 어떤 행동을 하게 되면 어떤 체벌을 받게 된다는 것을 사전에 분명히 알려주면 효과가 있다. 다섯째, 체벌은 가치 판단력의 발달이 미흡한 학생들에게 행위 준거의 토대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곧 도덕성의 발달을 도와준다. 여섯째, 체벌은 개인의 책임감을 발전시켜 주며, 학생들의 자기 훈련 능력을 길러준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인간의 부적절한 행동을 약화 또는 소멸시키는 면에서 체벌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교육 현장에서 하나의 수단과 방법으로써 체벌이 그 의미를 살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1.2. 체벌의 한계점과 주의점
체벌의 한계점과 주의점이란 교육이념의 측면, 인간 발달의 측면, 교육 방법의 측면, 인간관계의 측면에서 체벌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체벌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을 의미한다.
첫째, 교육이념의 측면에서 볼 때 체벌은 유능한 민주시민의 자질을 길러주는 교육 이념 속에서 자율심과 자주성, 인권 존중의 사상과 부합하지 않는다. 즉, 폭력화된 체벌은 민주시민이 용납할 수 없는 타율적이고 피동적인 행동을 야기한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인간 발달의 측면에서 보면 체벌은 학생들의 육체적, 심리적 박해와 억압을 초래하여 정신적으로 위축되게 만들어 바람직하지 않다.
셋째, 교육 방법의 측면에서 볼 때 체벌과 질책보다는 상과 칭찬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간과한 채 체벌을 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는 단순히 학생을 길들이려는 측면이 강하다.
넷째, 인간관계의 측면에서 교사가 체벌을 가함으로써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가 악화되어 증오심을 키워줄 가능성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다섯째, 체벌이 처벌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처벌은 어떤 행동이 발생할 확률을 감소시키는 반면, 부정적 강화인은 긍정적 강화인과 마찬가지로 어떤 행동이 발생할 확률을 증가시킨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처벌로 인해 학생들을 위축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
참고 자료
도미향외, “아동복지론”, 공동체, 2009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2
김경신,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 2010
박진우,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유아의 모체벌에 대한 지각과 공격성에 대한 연구”, 동아대, 2008
정탄진, “학생 체벌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홍익대, 2009
심창희, “고등학생의 체벌에 관한 연구”, 단국대, 2002
체벌 거부 선언 (폭력을 행하지도 당하지도 않겠다는 53인의 이야기)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저 | 교육공동체벗 | 2019.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