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시설운영현황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다양한 사회복지시설 운영 현황 개요
1.2. 장애인 사회복지 기관의 역할과 중요성
2. 경남 진주시 장애인 사회복지 기관 현황
2.1. 경남 진주시 장애인 단체와 장애인 바우처 제공 기관 현황
2.2. 경남 진주시 장애인 복지시설 현황 및 운영 내용
3. 장애인 복지시설 프로그램 및 생산품 현황
3.1. 장애인 복지시설 운영 프로그램
3.2. 장애인 보호 작업장 생산품 종류
4. 사회복지시설 운영 및 평가에 대한 고찰
4.1. 사회복지시설 평가의 필요성과 도입 배경
4.2. 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 결론
5.1.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적 제언
5.2.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향후 과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다양한 사회복지시설 운영 현황 개요
현대 사회에는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지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은 장애인, 노인, 아동 등 다양한 대상자들의 생활 지원과 복지 증진을 위해 마련되었다. 이러한 사회복지시설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법인 및 단체 등에 의해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은 크게 생활시설과 이용시설로 구분되는데, 생활시설은 시설 내에서 거주하며 돌봄과 지원을 받는 형태이고, 이용시설은 지역사회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형태이다. 대표적인 생활시설로는 양로시설, 요양시설, 정신요양시설 등이 있으며, 이용시설로는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등이 있다.
이처럼 사회복지시설은 국가와 지역사회의 복지정책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대상자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 운영에 있어 안전, 인력, 재정 등 다양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종합적으로 사회복지시설은 우리 사회의 복지 증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2. 장애인 사회복지 기관의 역할과 중요성
장애인 사회복지 기관은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조직된 기관이다. 보통 장애인의 사회생활은 무척 어렵다. 실제 장애인은 사회 시민으로서 가져야 하는 여러 기본적인 권리, 즉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생활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장애인은 사회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들을 사회 속으로 통합하기 위해 여러 재활 및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장애인 사회복지 기관의 목표이다. 장애인 사회복지 기관은 장애인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경제적 자립을 돕는 지원을 제공한다. 또한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인식을 개선해 사회통합을 도우며 그들의 인간다운 삶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장애인 사회복지 기관의 역할과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2. 경남 진주시 장애인 사회복지 기관 현황
2.1. 경남 진주시 장애인 단체와 장애인 바우처 제공 기관 현황
경남 진주시 장애인 단체와 장애인 바우처 제공 기관 현황이다. 현재 진주시 관내 장애인 단체는 진주시 장애인총연합회를 중심으로 총 12개의 단체가 있다. 진주시에 제공하는 장애인 바우처는 크게 일곱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장애인 활동 지원, 중증장애인과 도우미 수당 지원, 중증장애인 자립 지원 서비스를 하는 곳이 6곳이 있다. 둘째, 방문목욕 등을 도와주는 장애인 활동 지원하는 나래울 센터 1곳이 있다. 셋째, 발달장애인을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상담 서비스를 진주시 장애인 종합 복지관에서 제공하고 있다. 넷째, 발달 재활서비스는 모두 15곳이 운영 중이다. 다섯째, 언어발달지원은 다솜 교육 개발 연구소에서 제공하고 있고, 여섯 째, 장애인 주간 활동 서비스는 느티나무 진주 발달장애인 주간 활동 제공 기관과 헬로 진주 발달장애인 주간 활동 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발달장애 학생의 방과 후 활동 서비스는 2곳에서 운영 중이다.
가장 큰 규모의 진주시 장애인 종합 복지관은 2003년 진주시와 LG복지재단이 함께 건립 및 준공되었으며, 현재 '남해복지재단'이 위탁 운영 중이다. 이곳에서는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위해 다양한 직업 재활...
참고 자료
소준영, 조철호(2000).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16(5).
최재성, 최정아, 정소연(2009). “장애인복지기관의 조직문화유형과 지역사회중심사회통합지향성에 관한 연구 : 시장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1(1).
진주시청 홈페이지 : https://www.jinju.go.kr/00134/00614/06790.web
진주 장애인 복지센터 : http://weltown.or.kr/sub02/sub02-1/
행복한 남촌마을 : https://cafe.naver.com/happynamchon
일송 보호작업장 : https://www.goods.go.kr/pp/index.do?menuNo=5400000
최세영ㆍ김준환 외 3명(2020), 사회복지조사론
창제(2020), 사회복지조사론(3판), 창지사.
장정순(2016),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양성원.
e-나라지표, www.index.go.kr.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