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리검사가 치료적도구로 쓰일때와 선발 배제 도구로 쓰일 때의 윤리적 차이는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심리검사의 개념 및 필요성
3. 점수 해석 틀에 따른 분류, 집중경향치, 규준점수
4. 검사의 신뢰도, 타당도
5. 한국판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
6. 홀랜드 검사
7. MBTI 성격유형검사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심리검사는 심리학적 현상에서 개인차를 비교하여 개인의 전체적인 인격적, 행동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 심리학적으로 측정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심리검사는 개인의 행동을 특징짓는 성질, 즉 심리적 특성을 수량화하고 측정하는 심리학적 측정 과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심리검사는 두 사람 이상의 행동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비교 측정할 수 있는 체계적인 과정이자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심리검사의 주요 개념으로는 개인의 대표적인 행동표본을 측정한다는 점, 표준화된 방식으로 실시된다는 점, 그리고 체계적인 과정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심리검사는 임상, 상담, 진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진단 및 평가를 가능하게 하므로 그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 심리검사의 개념 및 필요성
심리검사는 심리적 현상에서 개인차를 비교해 개인의 전체 인격적, 행동적 측면을 이해하는 심리학적 측정 과정이다. 심리학적 측정이란 개인행동을 특징짓는 성질로 심리적 특성을 수량화하거나 측정하는 과정이며,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한 간접적인 측정이다. 심리검사는 두 사람 이상의 행동을 비교할 수 있는 체계적 과정으로 행동의 표본을 표준화한 방식으로 측정하는 기법이다. 심리검사는 개인의 대표적인 행동표본을 심리학적 방식으로 측정하여 개인 전체 행동을 예견할 수 있게 하고, 표준화된 방식으로 실시되어 검사 반응이 실시조건이나 채점방식 차이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며 순수한 개인차를 나타내도록 보장한다. 또한 심리검사는 체계적인 과정이므로 하나의 심리검사가 여러 개인에게 실시되더라도 동일한 종류의 정보가 수집된다.
심리검사의 필요성은 첫째, 임상, 상담, 진로 등 다양한 영역에서 문제점 파악, 심리적 진단, 계획 수립 및 평가의 객관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둘째, 지적 능력, 정서, 사회적 가치관, 성격 등 다양한 측면을 평가할 수 있고, 셋째, 상담 계획 수립과 상담 반응 예측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며, 넷째, 정상과 이상의 구분, 적응장애와 정신장애 감별, 신체질환의 정신병리적 역할 등 다양한 진단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리검사는 개인에 대한...
참고 자료
심리검사, 마음백과,
준거지향 평가와 규준지향 평가의 비교, 네이버 블로그,
김춘경. 상담학 사전. 서울: 학지사, 2016.
서울대학교.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 2011.
최윤희.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와의 비교를 통한 고지능아용 인지능력검사의 타당도 탐색."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서울
윤소영.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문헌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울산
이연희. "홀랜드(Holland) 검사 유형에 따른 여중생의 헤어스타일 선호도."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서울
강민정. "MBTI성격유형,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014. 울산
전용오, 김영빈, 신혜숙(2016). 심리검사 및 측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동민(2019). 심리 검사와 상담.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