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억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노인 억제대 사용의 윤리적 문제
1.2. 노인 억제대 사용 현황 및 문제점
1.3.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본론
2.1. 억제대 사용의 윤리적 이슈 정의
2.2. 억제대 사용 실태와 관련 정책
2.3. 윤리적 문제점과 쟁점
2.4.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활동 방안
3. 결론 및 제언
3.1. 억제대 사용에 대한 윤리적 고찰
3.2. 노인 환자 권리 보호를 위한 정책적 제언
3.3.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노인 억제대 사용의 윤리적 문제
노인 억제대 사용의 윤리적 문제이다. 노인 억제대는 노인 환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지만, 현재 노인학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억제대 사용은 환자의 자유와 인권을 침해할 수 있으므로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노인 환자의 경우 상황에 따라 억제대 사용이 필요할 수 있으나, 무분별한 사용은 노인학대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억제대 사용에 대한 엄격한 기준과 절차가 필요하며, 환자의 인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방향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
1.2. 노인 억제대 사용 현황 및 문제점
요양병원에서 신체 억제대의 오남용으로 노인환자들의 인권침해 논란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의료기관평가인증원과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와 공동으로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안전과 인권 보호를 위한 '신체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고 전국 요양병원과 전국 시·도에 배포하였다. 그러나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신체 억제대 사용절차 지침을 위반해 시정명령을 받은 요양병원은 11곳이었으며 무분별한 신체 억제대 사용으로 제기된 민원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요양병원의 경우에도 신체구속의 사유와 절차 등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환자들의 인권이 침해되고 있다.
한편,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경우에는 불법적으로 신체억제대를 사용해도 처벌 근거가 없어 노인학대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2016년 보건복지부로부터 용역을 받아 실시된 노인의료복지시설 점검결과, 신체억제대를 사용하지 않는 시설은 딱 1곳에 불과했고 대부분의 시설에서 신체억제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신체구속에 관한 고지가 허술하고 관련 지침도 없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보건복지부는 전국 5163개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신체억제대 사용과 관련한 장기요양기관 시설급여 제공 매뉴얼만 배포한 채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단 한 차례도 실시하지 않았다.
또한 민간 요양병원에서는 신체 억제대 사용의 문제점들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저녁에 환자를 묶어두거나 무분별한 신체 억제대 사용으로 입원 중인 환자가 피멍이 들어 피해가 발생하였다. 일부 요양병원에서는 환자를 테이프로 감아 이동시키고, 신체 억제대를 사용해 환자를 방치한 결과 욕창이 발생한 사례도 보고되었다. 이처럼 노인 요양시설에서의 신체 억제대 오남용 문제는 환자의 신체적 피해뿐만 아니라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전반적인 관리체계의 문제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1.3.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노인 억제대 사용의 윤리적 문제는 노인 간호 현장에서 중요한 이슈이다. 노인 억제대 사용이 필요한 상황에서만 적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간호사들의 편의를 위해 무분별하...
참고 자료
손정태 외 12명, 『기본간호학』, 현문사
안동휘, 『노인시설에서 간호제공자의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과 태도』, 부산카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엄태선, 『노인환자 안전 위한 신체억제대, 노인학대용 사용』,약사공론
규림요양병원
"피멍에 욕창까지"...요양병원 신체억제대 남용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