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초대교회의 경제윤리와 이후의 발전
1.1. 기독교 윤리 태동의 과정
1.1.1. 초대교회와 고전적 기독교 윤리
초대교회는 기본적으로 바울의 윤리를 모범으로 삼았다. 바울은 구원을 도덕적 삶의 기초로, 그리스도를 닮는 것을 도덕적 삶의 목적으로 삼았으며 이를 이루기 위한 도덕적 삶의 방식을 사랑이라고 표현했다. 그런 의미에서 내주하시는 성령의 능력으로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 바울의 윤리는 지극히 구원론적이고, 기독론적이면서 성령론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독교 윤리는 당시 제국과 갈등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는데, 당시 제국의 뒤편에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문화와 철학이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어거스틴에 따르면 악이란 독립된 실체가 아니라 선한 것의 결핍이었다. 인간의 도덕적 문제 역시 인간의 의지 안에 존재하는 이러한 결핍으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윤리적 삶은 하나님을 향한 사랑에서 출발하는데, 이는 하나님이 주시는 초자연적인 선물이다. 그렇기에 우리가 하나님을 진실로 사랑할 때 우리의 의지가 하나님의 의지에 동화되어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방식대로 행하기를 소망하게 된다. 그리고 그에게 있어 이렇게 이루어진 삶이 바로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윤리적인 삶이었다.
1.1.2. 중세 기독교 제국의 윤리와 르네상스 이후의 시대
아퀴나스는 하나님이 이성적인 신법에 따라 세상을 다스리기에 죄란 이성에 반하여 행동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인 이성을 통해 어느 정도의 윤리적 삶을 살아가는 것은 가능하지만, 궁극적으로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러한 삶을 이루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에게만 주어진 믿음, 소망, 사랑이라는 신학적인 덕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아퀴나스는 하나님을 직접 대면하고 초자연적인 은사인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하나님의 계시에 의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중세는 기독교의 치세가 가장 컸던 때로 교리가 윤리가 되는 시대였기에, 이러한 그의 주장인 기독교 윤리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이 일어나면서 유럽 사회는 인본주의와 인문주의, 그리고 순수 기독교가 발전함에 따라 기존에 정체되어 있었던 중세 유럽을 벗어나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게 되었다. 이후 계몽주의까지 발흥하게 되면서 신학과 그의 종이었던 스콜라의 형이상학에 대신해서 이성이나 경험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종교가 아닌 이성이라는 새로운 영토를 발견해 낸 시기이지만, 칸트 이전의 시기까지는 도그마가 곧 윤리인 시대를 유지하고 있었다.
1.1.3. 현대성과 자유주의 신학의 발흥
칸트가 등장하면서부터 당대 시대를 이끌던 성서 주석과 교리신학은 이성으로 완전히 교체되었다. 기존에 기독교라는 거대한 세상 속에서 살아가던 사람들은 교회라는 틀을 벗어난 사회에서 살아가게 되었다. 이에 기독교 윤리라는 개념이 대두됨과 함께 이성이 모든 것들의 판단 기준이 되는 사회에서 교리적인 확증과 도덕적인 소유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 것이냐는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칸트가 등장한 시기 기독교에는 자유주의 신학이 꽃피우기 시작했다. 이러한 신학의 조류를 이끈 이들은 슐라이에르마허와 리츨, 트뢸치, 하르낙과 같은 인물이었다. 이들은 교리와 윤리를 구분했으며, 자율적인 이성의 원칙을 중신하면서 이후의 기독교가 고전적인 기독교 언어 및 교리와 결별하도록 하는데 주된 역할을 하였다.
즉, 칸트 이후 기독교는 학문적으로 이성주의와 자유주의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교리와 윤리의 구분, 이성의 강조, 그리고 기존 교리와의 결별은 근대 기독교 윤리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이를 통해 기독교는 사회 속에서 그 의미와 역할을 새롭게 모색하게 되었다.
1.2. 미국의 기독교 윤리학
1.2.1. 월터 라우셴부시
월터 라우셴부시는 사회적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