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나의 꿈을 향한 발걸음
1.1. 현장실습 목표 및 계획
현장실습 목표 및 계획은 두 가지였다. 첫째, 제주관광공사의 직무분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저는 제주에서 관광산업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제주관광공사는 제주도 내 다양한 민간/공공 영역의 관광산업과 연계된 일을 하고 있기에, 공사 내의 업무뿐만 아니라 제주도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광산업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해보고자 하였다. 둘째, 실제 업무 프로세스를 배우고자 하였다. 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실제 업계 현실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졸업 후 취업했을 때 업무 적응에 어려움이 없도록 실제 프로세스를 경험하고자 하였다.
1.2. 기업 업무 내용 및 현장 적응 노력
현장실습을 하면서 가장 중점적으로 맡은 일은 제주관광안내사이트인 VISIT JEJU의 콘텐츠 등록을 하는 작업이었다. 제가 등록한 자료가 국내외 관광객에게 보여진다는 것이 신기하기도 했고 동시에 부담감으로도 작용했다. 학교를 다니면서 틈틈이 제주도 내 여러 관광지를 돌아다녔기 때문에 이미 방문한 장소의 콘텐츠 등록을 하는 일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방문한적 없는 장소는 정보를 등록하기가 쉽지 않았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쉽게 정보를 얻을 수도 있었지만 직접 방문하는 쪽을 선택했다.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직접 노출되는 정보인 만큼 놓치는 부분 없이 꼼꼼하게 정보를 확인해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주중에는 사무실에서 현장실습을 하고 주말에 시간을 내 직접 정보등록이 필요한 관광지를 방문했다.
VISIT JEJU의 자료 등록 작업 이외에도 틈틈이 서비스 인프라 팀의 업무도 보조했다. 제주관광공사에서는 J-Academy라는 수업을 매주 주말에 개최한다. J-Academy는 관광 트렌드 변화 및 시장 다변화 요구에 부응하고 전문성과 경쟁력을 갖춘 관광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관광산업의 질적 성장 기반을 구축하고자 마련된 관광전문 교육이다. 제가 맡은 일은 아카데미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미리 준비하는 일이었다. 이 업무를 통해서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과는 약간 다른 관광에 대해 알게 되었고, 최신 관광트렌드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다. 학교에서 누구도 알려준 적 없는 일이었기에 실제로 준비하는 과정이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았다. 자료준비에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법을 비롯하여 강의실 배치 등 하나부터 열까지 교육에 필요한 것을 배울 수 있었다.
현장실습을 하는 공사의 구성원들과 가까워지기 위해 업무 외적인 시간에서도 많은 노력을 했다. 직원들과 친해지기 위해서 퇴근 후에 부서회식도 참여했다. 회식에 참여하지 않는 외국인 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