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질성뇌증후군
1.1. 정의
기질성뇌증후군이란 심인성 요인이 아닌 뇌 조직의 영구적인 손상이나 뇌 자체의 기질적 변화에 의한 정신행동 장애를 총칭하는 것이다. 두부외상으로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뇌졸중이나 퇴행성 질환 또는 감염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지와 지능장애, 감정의 변화, 행동의 변화 등을 가져오게 되어 섬망, 치매, 기질성 건망증후군, 기질성 망상증후군, 기질성 환각증, 기질성 정동증후군, 기질성 불안 증후군 및 기질성 성격증후군 등 8개 범주로 나누고 있다. 기질적 뇌 증후군은 치매와 같은 전체적 인지기능의 손상, 건망증 또는 기질성 환각과 같은 국소적 인지기능의 손상, 인격, 정서의 장애나 망상과 같은 인격장애의 형태를 보인다.
1.2. 원인
뇌졸중이나 종양, 교통사고, 낙상, 상해 등과 관련되어 뇌에 손상이 일어난 경우 원인은 크게 뇌병변, 알코올 등의 약물중독과 뇌기능에 영향을 주는 전신 질병이 있다. 뇌병변으로는 외상, 종양, 혈관장애, 퇴행성 질환, 간질, 감염이 있으며 전신 질환은 심장병, 간장병, 신장병, 내분비와 대사장애, 영양 부족 등이 있다. 또한 알코올과 약물 중독 및 금단도 원인이 된다.
1.3. 증상
기질성뇌증후군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의식이 혼탁되어 자신과 주변을 지각할 수 있는 능력이 감소되며 집중을 유지하고 옮기는 것이 어렵다. 또한 자극을 지각하는 능력이 감소되거나 지나치게 민감하여 착각이나 환각을 경험하고 상황 판단력이 떨어져 행동과 사고가 부적절하며 기억이 감소되고 지남력의 장애를 보일 수 있다. 이 외에도 기억력 장애, 두통, 현기증, 수면장애, 분노조절 장애, 무력감, 충동 및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 기분은 불안과 우울이 흔하며 정서가 불안정하고 심한 변동을 나타내거나 혹은 무감각하다.
1.4. 치료 및 간호중재
기질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