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 프로그램개발과 평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필요성
2.1. 프로그램의 책임성
2.2.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중요성
2.2.1. 대상자(능력수준과 흥미의 적합성)
2.2.2. 문제(프로그램의 통합성)
2.2.3. 목적(합목적성)
2.2.4. 과정(프로그램의 지속성 및 네트워크)
2.2.5. 장소(지역성)
3. 프로그램 전문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자세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실천은 국민의 안전과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목적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이 있듯이, 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들을 처음만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 또는 제공하기 위한 사회복지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 및 분류하며 사정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원조과정을 거쳐서 사회복지서비스를 마무리하고, 때에 따라서는 사후관리의 과정을 진행하기도 한다. 사회복지는 시대의 사회구조 및 사상, 그리고 정치적인 상황과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구조에 따라서 특정 형태 및 방법으로 발달해왔음을 사회복지의 역사를 통하여 드려다 볼 수 있었다. 하나의 예를 들자면, 한국전쟁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는 체계적이고 구체적이기 보다는 단순한 형태의 복지인 원조 및 구제 그리고 보호와 상부상조 등의 행동체계로부터 발전해왔다. 또한 구제제도를 살펴보면 전통적인 자선사업과 박애사업을 들 수 있다.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는 제공한 프로그램들은 기관의 계획과 정책 등으로 인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그만큼 사회복지현장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는 클라이언트의 욕구뿐만 아니라 기관의 목적 및 재정 등에도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2.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필요성
2.1. 프로그램의 책임성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서는 책임성(accountability)이 강조되고 있다. 여기에서의 책임성은 이사회 및 정부, 후원자와 전문가, 클라이언트 및 지역사회 주민 등과 같은 프로그램의 재정지원자들에게 특정 프로그램에 효과적 및 적용범위, 서비스와 법칙 그리고 재정적 필요조건 등을 준수하고 있다는 증거를 프로그램에 관여하고 있는 직원...
참고 자료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 : https://www.e-hfr.org/archive/view_article?pid=hfr-5-2-105#B3
지표누리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14
이민홍, 정병오 2017 양서원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엄명용, 노충래 외 1인 2015 학지사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우수명 2018 지식공동체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