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의 심리사회에서의 개입의 6가지 내용 지지,직접적영향,탐색-기술-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의 심리사회모델
1.2. 동기강화모델의 개념
2. 심리사회모델의 특징
2.1. 개념과 개입방법
2.2. 주요 전제와 이론적 배경
2.3. 실천과정
3. 동기강화모델의 특징
3.1. 개념과 개입방법
3.2. 사회복지실천원칙과의 관계
3.3. 실천기술
4. 두 모델의 비교
4.1. 이론적 배경
4.2. 실천 초점
4.3. 실천 접근방식 및 특성
4.4. 실천기법과 절차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의 심리사회모델
심리사회모델은 사회복지실천 양식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여러 가지 요소들이 절충된 모델이다. 개인의 심리 상태, 개인과 관련된 사회환경,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관련되며 사회복지사는 각종 문제 상황을 개인의 내적 문제(생리·심리 문제), 사회환경의 문제(사회적 문제) 및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문제(적합 또는 적응 문제)로 보고 문제를 해결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하여 개인, 사회환경 및 개인과 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입을 각각 또는 복합적으로 시도한다.
모든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존엄성을 가지며 성장능력, 학습능력, 적응력, 사회 또는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긍정적인 존재라고 전제한다. 또한 개인의 심리체계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생물학적 체계, 사회적 체계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문제 상황을 개별화하고 차별성을 강조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경험적 지식, Freud의 정신분석이론, 자아심리이론, 체계이론, 인류학 등이 영향을 미쳤다. 사회복지사들은 클라이언트의 표면적인 행동, 감정 상태와 성격 발달에 내부정신세계인 무의식적 동기, 힘, 갈등 등이 영향을 준다고 보고 내부 요인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실천과정에서는 초반기 면접 및 심리사회상황 조사, 사정(진단적 이해), 개입목표의 설정 및 개입, 종결 단계를 거치며 지지, 직접적 영향주기, 탐색-묘사-환기, 개인-환경 간의 관계에 관한 고찰, 유형-역동의 성찰, 발달 성찰 등의 직접 개입기술과 사회환경 자원과의 작업 등의 간접 개입을 활용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비밀을 보장하며 클라이언트의 책임성을 중시한다.
1.2. 동기강화모델의 개념
동기강화모델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동기강화모델은 클라이언트의 변화 동기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 모델은 클라이언트의 양가감정을 탐색하고 해결하는데 초점을 두며, 변화를 촉진시키는 클라이언트의 내적 동기를 강조한다. 이는 Miller와 Rollinick에 의해 정립되었으며, 주로 동기 수준이 낮고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에게 유용하게 사용되고 알코올 중독이나 행동 중독을 비롯한 다양한 중독 행동 및 건강 관련 행동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가 입증된 이론이다. 더불어 동기강화모델은 일반적으로 변화동기와 행동변화에 대한 결심을 돕는 협력적인 대화 방식이고 실천적으로는 클라이언트 중심의 면담 접근이며, 기술적으로 변화대화에 주목하는 협력적이고 목표지향적인 대화 방식이다.
2. 심리사회모델의 특징
2.1. 개념과 개입방법
심리사회모델은 사회복지실천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여러 요소들이 절충된 모델이다. 사회복지실천의 초점은 개인의 심리상태, 개인과 관련된 사회환경,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관련된다. 사회복지사는 문제 상황을 개인의 내적 문제, 사회환경의 문제,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문제로 파악하며, 이들 문제에 각각 또는 복합적으로 개입한다.
심리사회모델의 주요 개입방법은 직접적 개입과 간접적 개입으로 구분된다. 직접적 개입 방법에는 지지, 직접적 영향주기, 탐색-기술-환기, 개인-환경 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 유형-역동의 성찰, 발달적 성찰 등이 포함된다. 지지는 관심, 수용, 경청, 재보증, 격려, 비언어적 지지 등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자존감을 증진시키는 기법이다. 직접적 영향주기는 강조하기, 제안, 충고, 독려 등 특정 행동을 돕는 기법이다. 탐색-기술-환기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상황과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는 기법이다. 개인-환경 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은 클라이언트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2014). 동기강화상담 [심리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 2070249&cid=41991&categoryId=41991
김영평생교육원. (2024). 사회복지실천기술론 [PDF파일]. https:// www.kystudy.co.kr/StudyRooms/Course TopicList?MyCourseId=195412&BoardName=Course_Data&Num=10&TopicId=236926
엄명용, 김성천, 오혜경, & 윤혜미. (2005). 개정판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임은희. (2004). 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김희주 저,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신정, 2022
공계순, 김혜란 외 2명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지사, 2022.
이영호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공동체, 2022
김희주 저,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신정, 2022
구혜영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신정, 2021
사회복지실천기술론_통합교안
심리사회모델과 동기 강화 모델-2024.03.27., 마라 탕수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