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자율신경계는 말초신경계통에 속하는 신경계로, 몸 속의 장기와 심장, 외분비샘, 내분비샘을 통제하여 우리 몸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기능적으로 상호 길항작용을 갖는다. 교감신경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또는 위급한 상황에 빠졌을 때 빠르게 대처하여 생명체를 보호하는 "응급기능"에 관여하고 환경의 변화에 따른 항상성에 관여한다. 부교감신경은 기관을 보호하고 위급한 상황에 대비한 에너지의 유지(저장)와 회복에 관여한다. 우리 몸의 내장 장기들은 일반적으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이중지배를 받고 있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촉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억제되는 길항적인 반응을 보인다.
2. 자율신경계의 정의 및 생리학적 특성
2.1. 신경계의 분류와 자율신경계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뉜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며,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에서 나온 신경 섬유들로 이루어져 있다. 말초신경계는 다시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로 나뉜다. 체성신경계는 우리의 의지에 따라 작동하는 반면, 자율신경계는 의지와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작동한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감신경은 위급한 상황에서 신체를 대비시키는 "싸움 또는 도망" 반응을 담당하며, 부교감신경은 "휴식과 소화" 기능을 담당한다. 대부분의 내장기관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이중신경지배를 받으며, 이들은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신체의 균형을 유지한다. 이러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길항작용을 통해 자율신경계는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게 된다.
2.2.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일반적 특성 비교
부교감신경은 뇌줄기와 척수의 천측 부분에서 시작되며, 교감신경은 척수의 흉부와 요부 부분에서 시작된다. 부교감신경의 신경절 전 뉴런은 교감신경보다 길게 나타나지만, 신경절 후 뉴런은 교감신경이 더 길다. 부교감신경의 신경절은 효과기 근처에 있는 말단 신경절에 위치하고, 교감신경의 신경절은 척추 측 신경절에 분포한다. 부교감신경의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이며, 교감신경의 신경전달물질은 노르에피네프린이다. 부교감신경은 개별 기관을 조절하지만, 교감신경은 동일 기관계에 속하는 여러 기관을 동시에 조절한다. 즉, 부교감신경은 국소적으로, 교감신경은 전반적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2.3. 자율신경계의 기능
자율신경계는 신경절전 뉴런에서 방출되는 신경전달물질에 따라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분된다. 교감신경은 norepinephrine의 방출과 adrenal glands에서의 epinephrine 분비를 통해 신체의 "싸움 혹은 도망" 반응을 활성화한다. 부교감신경은 아세틸콜린 방출을 통해 "휴식과 소화" 형태로 작용하며 교감신경과 길항작용에 관여한다. 이와 같이 자율신경계는 신경전달물질의 종류에 따라 콜린성 시냅스 전달과 아드레날린성 시냅스 전달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생리적 반응을 유발한다. 대부분의 내장기관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이중신경지배를 받으며, 이들의 길항작용, 보완적 작용, 협력적 작용을 통해 내부 환경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심장의 경우 부교감 신경 활성 감소와 교감 신경 활성 증가로 인해 심박수가 증가하고, 음경의 경우 부교감 신경의 혈관 확장과 교감 신경의 사정 작용이 협력한다. 일부 기관인 부신수질, 피부 털세움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