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과중심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업 계획 배경과 필요성
1.2. 기존 유사사업과의 차별성
1.3. 신청기관의 장점
2. 사업 내용 및 추진전략
2.1. 사업 참여자 모집전략
2.2. 사업 내용 및 수행 방법
2.3. 기관 연계협력 전략
3. 사업 예산
3.1. 예산 편성
3.2. 예산 조달 계획
4. 사업 목표 및 평가
4.1. 산출 목표와 모니터링 방법
4.2. 성과 목표와 평가 방법
5. 사업 종료 후 지향점
5.1. 사업 수행의 기대효과
5.2. 사업 결과의 활용계획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업 계획 배경과 필요성
노인 대상으로 스포츠 댄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은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증진에 매우 효과적이다.
노년기에 댄스 스포츠를 꾸준히 즐기는 노인은 일상활동에 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74%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 댄스스포츠는 노인 치매예방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노인들에게 건강, 여가, 사회활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러한 프로그램 도입의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기존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중 스포츠 댄스 프로그램은 대부분 한 종목 위주로 운영되어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하지만 이 사업에서는 삼바, 룸바, 자이브, 차차차 등 4개 영역의 댄스를 종합적으로 다루어 노인들의 흥미와 선호도를 고려한다. 또한 단순 교육프로그램에 그치지 않고 경연대회 참가를 통해 노인들의 성취동기를 자극하는 차별점이 있다.
부산노인종합사회복지관은 부산시청과 근접한 최적의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으며, 노인복지관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기관이다. 특히 복지관 내부에 댄스스포츠 동아리가 이미 운영되고 있어 관련 인프라와 경험이 풍부하다. 따라서 이 기관은 스포츠 댄스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최적의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2. 기존 유사사업과의 차별성
기존 노인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스포츠댄스 프로그램은 한 종목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어르신들 마다 배우고 싶은 춤은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르신들에게 무리가 안가는 삼바, 룸바, 자이브, 차차차 등 4가지 영역의 춤을 선정하고 전문강사들을 초빙해서 어르신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동작을 교육할 수 있다. 다른 교육들과의 차이점은 이 프로그램에서는 댄스스포츠 경연대회에 참가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노인대상 프로그램들이 일회성과 흥미위주의 교육이었다면, 이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성취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학습한 춤을 통해 경연대회에 나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여 노인들의 내면에 있는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이를 통해 어르신들의 자신감 향상, 동기부여, 여가생활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3. 신청기관의 장점
본 기관은 부산광역시에 설립한 기관으로 1996년에 개관하였다. 위치는 부산시 연제구에 위치해 있는데 부산시청과 가깝고 옆에는 부산시장애인종합복지관이 있어 여건이 매우 좋은 편이다. 일단 공공영역에서 운영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다른 기관들에 비해 시설...
참고 자료
강은철, ‘LG전자, ‘강원소방서에 ‘방화복 세탁기’ 기증‘, https://www.kharn.kr/news/article.htm l?no=10203
김병균, 서민교 (2012),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관한 사례연구, 국제경영리뷰’, 16(3), 235-265
김성건 (2016),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관한 연구 - LG전자를 중심으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14(6), 69-83
명창식 (2015), ‘한국의 글로벌 기업 사회적 책임(CSR)활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29(5), 229-252
양지원, ‘CSR의 LG, CSV? 이미 하고있다‘, http://www.mediasr.co.kr/news/articleView.html?id xno=10832
천세학 (2018), ‘CSR과 시장경제의 진화: LG디스플레이 사례연구’, 상업교육연구, 32(5), 27-50
LG, ‘2019-2020 LG전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https://www.lge.co.kr/lgekor/company/sustainability/report.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