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듀이 하나의 경험으로서 예술교육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존듀이 하나의 경험으로서 예술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존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과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1.2.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기여 부족
1.3. 철학적·이론적 정립과 실천적 영역 활성화의 필요성

2. 본 론
2.1. 존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
2.1.1. 경험철학 관점에서의 문화예술교육
2.1.2. 일상적 삶 속 예술경험과 몰입
2.2.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2.2.1.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대한 실증적 연구
2.2.2.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참여 격차 해소 방안

3. 결 론
3.1. 이론과 실천의 유기적 통합
3.2. 균등한 미적 경험 제공을 위한 정책적 대안 제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존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과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듀이는 예술작품을 통한 심미적 경험뿐만 아니라 실제적, 지적 경험에서도 사태의 추이와 함께 발달하여 완결을 이룰 때 심미적 경험이 된다고 보았다. 경험으로서 예술을 바라보는 듀이의 관점은 예술을 경험의 이상적인 형태로 보고, 예술이 지닌 미적인 특성을 통해 갖게 되는 미적 경험은 인간과 세계 간에 일어나는 가장 기본적인 교류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듀이의 경험철학에 따르면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미적 체험은 자신의 삶을 재조정하고 재구성하여 내적인 성장이 가능해지는 완결된 형태의 하나의 경험으로 완성된다. 일상적인 삶 속에서 예술이 개인과 의미 있게 만날 때, 삶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예술에 대한 경험과 몰입을 통해서 자신도 모르는 자기 내면과 소통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에 대한 질적인 미적 경험을 산출하는 매체가 되어야 하며, 예술의 '창작'과 '감상'으로 미적 경험을 끌어내고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자는 예술가와 감상자를 넘나들며 직접적인 경험을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종사자는 명료한 교육철학을 세우고 교육 대상자의 질성적 사고를 작동하기 위한 교육 방향과 단계를 설정해야 한다.

부르디외는 경제 자본이 문화자본으로 전환될 수 있고 문화자본이 경제 자본으로 전환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았으며 서로 다른 사회계급이 서로 다른 형식의 문화·예술을 소비한다고 보았다.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원칙은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와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육을 지향하며 균등하고 보편적인 문화예술교육 기회 제공은 모든 국민의 문화적 권리이다. 이에 부르디외의 관점에서 볼 때,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결과 고급문화예술교육 참여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이전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이었다. 즉 문화예술교육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이전에 대중문화예술교육에 참여했을수록 대중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고 고급문화예술교육에 참여했을수록 대중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의 참여 결과에서 대중문화예술교육과 고급문화예술교육 간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마다 문화예술교육의 경험적 연구를 실시하고 고급과 대중의 두 계층을 통합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듀이와 부르디외의 관점을 바탕으로 볼 때, 문화예술교육은 개인의 미적 경험을 풍요롭게 하고 실생활과 연계하여 성장을 도모해야 하며, 동시에 모든 국민의 문화향유권 보장을 위해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철학과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고, 실천적 영역에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1.2.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기여 부족

현재 문화예술교육은 양적 확장에 비해 실천적인 영역에서의 질적 기여가 미흡하다. 그 근원적인 이유는 첫째, 한국의 사회적 배경과 밀접한 철학의 기조가 미비하기 때문이다. 이론의 근간을 이루는 철학이 명료히 정립되지 않아 이론적인 영역에서 제각각의 교육철학으로 인해 혼동이 발생하고 있다. 근대적 예술관과 탈근대적 예술관, 즉 '예술을 위한 교육'과 '예술을 통한 교육'의 상호보완적 공생을 위해 기존 예술의 외연을 확장하는 것...


참고 자료

민족주의
[네이버 지식백과] 민족주의 [nationalism, 民族主義]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6979&cid=40942&categoryId=31645
사회주의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주의 [socialism, 社會主義]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8255&cid=40942&categoryId=31433
파시즘
[네이버 지식백과] 파시즘 [fascism]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6914&cid=40942&categoryId=31645
자유민주주의 (=정치적 민주주의)
[위키백과] 자유민주주의 (自由民主主義, liberal democracy)
http://ko.wikipedia.org/wiki/%EC%9E%90%EC%9C%A0%EB%AF%BC%EC%A3%BC%EC%A3%BC%EC%9D%98
전체주의
[네이버 지식백과] 전체주의 [totalitarianism, 全體主義]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9871&cid=40942&categoryId=31645
대안학교
[위키백과] 대안학교 (代案學校, alternative school)
http://ko.wikipedia.org/wiki/%EB%8C%80%EC%95%88%ED%95%99%EA%B5%90
에포크 수업
저서 : 대안학교
저서: 교육철학 및 교육사(양서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