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연구 선정 동기
최근 제왕절개 분만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 원인 중 하나인 아두골반불균형(CPD)에 대해 관심이 생겼다. 실습을 하면서 CPD 케이스를 접하게 되어 해당 주제로 사례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CPD는 의학용어 시험에서 다뤄진 부분이기도 하고, 지난 학기 수업시간에서도 배웠던 내용이라 더욱 자세히 알고 싶어졌다. 또한 병동 회진이나 간호처치를 할 때 CPD에 대한 지식이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이번 기회를 통해 CPD에 대해 공부하게 되었다.
1.2. CPD의 정의와 병리
CPD(Cephalopelvic disproportion)는 분만 과정에서 태아의 머리와 산모의 골반 사이에 크기의 불균형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태아의 머리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그에 비해 좁거나 좌골가시가 돌출되었을 때 아두골반불균형이 발생한다. 또한 태아의 머리가 이례적으로 변형되거나, 산증(caput)이 과도하게 형성되었거나, 이 두 가지 요인이 함께 있는 경우에도 아두골반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
협골반(Contracted pelvis)이란, 정상 골반보다 약 1cm가 짧은 경선이 하나 이상인 골반을 의미한다. 골반입구 협착은 전후경이 10.0cm 이하이고, 횡경이 12cm 이하일 때를 말하며, 골반강 협착은 양좌골극간경이 9.0cm이하(정상은 10.5cm)이며, 횡경과 후종경의 경선을 합하여 13.5cm이하일 때 또는 내진상 좌골극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골반측벽(side wall)이 내면으로 모아져 있을 때를 말한다. 골반출구 협착은 좌골결절간경이 8.0cm이하이거나 횡경과 후종경의 경선을 합하여 15cm일 때를 말한다. 이러한 협골반은 첫째, 골반이 넉넉히 크면 모양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으나 4가지형의 골반 중 어느 형이라도 크기가 작은 경우와 둘째, 골반, 척추, 고관절, 다리의 질병이나 외상으로 골반의 크기와 모양이 비정상적인 경우에 발생한다.
따라서 CPD는 분만 과정에서 태아의 머리가 산모의 골반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로, 태아나 산모의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CPD의 원인
아두골반불균형(CPD)의 원인
협골반은 첫째, 골반이 넉넉히 크면 모양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으나 4가지형의 골반 중 어느형이라도 크기가 작은 경우이다. 둘째, 골반, 척추, 고관절, 다리의 질병이나 외상으로 골반의 크기와 모양이 비정상적인 경우가 있다. 4가지형의 골반 중 어느 형이라도 크기가 작은 경우는 첫째, 일반적인 협소골반인 작은 여성형 골반(Generally Contracted or Small Gynecoid Pelvis)이다. 이것은 모양은 여성형 골반이지만, 각 경선의 길이들이 정상보다 약간 짧다. 일반적으로 태아가 크지 않을 때 정상적인 기전으로 순산하게 된다. 그러나 아두응형이 심하고, 겸자분만율도 높다. 태아가 너무 클 때는 분만이 중단된다. 둘째, 작은 유인성 골반(Small Anthropoid pelvis)이다. 이것은 아두가 횡경에 진입되지 못하므로 후방 후두위가 많다. 분만중에는 횡경이 좁으므로 내전이 잘 되지 않고, 후방 후두위로 만출되는 비율이 높다.
모체측 요인으로는 첫째, 협골반, 아두골반 불균형, 산도의 종양, 자궁수축 이상, 이상태위(횡위, 전액위, 후방 안면위 등)로 인한 난산이 있다. 둘째, 전치태반, 태반 조기박리로 인한 산전출혈이 있다. 셋째, 과거 제왕절개분만을 했을 때 문제가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