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아분리와 관련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례연구
1.1. 서론
1.1.1. 대상자 사례
1.1.2. 연구의 필요성
1.2. 본론
1.2.1. 모아애착 형성과정
1.2.2. 분만 직후 어머니의 신생아 접촉이 모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
1.2.3. 모아의 조기 접촉이 모성의 애착 행위에 미치는 영향
1.2.4. ㅇㅇㅇ병원의 '사랑수'
1.3. 대상자 사정
1.3.1. 신생아 사정
1.3.2. 투약 기록
1.3.3. 신생아 검사소견
1.4. 대상자 간호문제
1.5. 대상자 간호과정
1.5.1. 간호진단#1: 소화흡수 장애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1.5.2. 간호진단#2: 모아분리와 관련된 불안
1.6. 퇴원 시 부모교육
1.7. 결론 및 제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례연구
1.1. 서론
1.1.1. 대상자 사례
김OO님의 아기는 ㅇ월ㅇㅇ일 제태기간 37주 6일에 CPD C/S 통해 태어난 남아이다. 아프가 점수는 1분 8점, 5분 9점으로 사정되었다. 분만 직후 아기의 SpO2유지되지 않아 첫 젖물림을 하지 못하고 신생아실로 입실했다. 호흡은 잘 하나 수유 시 desaturation(SpO2 80%대), regurgitation 증상이 보인다. 산모는 모자동실을 요구했고 saturation base 유지되지 않아 어려운 상태라고 설명한 상태이다.
1.1.2. 연구의 필요성
모아애착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애착은 인간이 자신과 다른 특정인 사이에 형성하는 애정적 유대로서, 영아의 생존과 특히 정서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만일 영아, 모성 혹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적절한 애착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악영향을 초래하여 심지어는 애착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연구에 의하면 산후 2개월 동안에 모아의 애착이 형성되므로 모아 모두에 있어 이 2개월 간이 중요한 시기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산욕기 처음 24시간 이내의 모아 조기 접촉 유무가 신생아의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신생아의 발달에 도움을 주고 모성 감정의 발달을 촉진시켜 준다.
현재 우리나라의 병원의 경우 이러한 모아 간의 조기 접촉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아기의 상태가 양호하다는 전제 하에 첫 젖물림, 모유수유, 모자동실을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신생아와 가족의 심리보다는 신생아의 신체적 상황에 따른 기술적인 측면과 감염 예방에 치중하여 신생아실은 폐쇄되어 있거나 방문을 제한하고 신체적 접근을 금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분만 후 모아의 건강한 상호관계 수립을 위해서는 모성과 영아를 돌보는 간호사의 지지적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모아상호관계를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나, 실제로 모아상호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거나, 그 중재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은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모아의 건강한 상호관계 수립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1.2. 본론
1.2.1. 모아애착 형성과정
임신 중 태동, 임부의 태아에 대한 지식 정도, 자율훈련, 임부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 정도, 임신계획 여부, 초음파 검사, 스트레스 정도, 태교 등이 임신기 동안 모아애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그러나 산전 애착의 특성과 정도는 분명하지 않고, 많은 요인들이 애착기간, 진행 정도, 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일부 여성들은 태아와 긴밀한 애착을 보여주는 행동적, 언어적 계기를 제시한다.
산욕기 초기에는 부모의 정서적 건강, 동료, 친구 및 가족을 포함한 사회적 지지체계, 의사소통과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 부모-아기 간의 근접성, 부모가 아이와 가깝게 지낼 수 있는 기회, 아기의 상태, 기질, 성 등이 부모애착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 중 어느 것이라도 없거나 왜곡되면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생아의 기질을 들 수 있다. 영아는 새로운 자극에 쉽게 적응하는 성질이 있는데, 신생아 기질이 "순하다"는 것은 새로운 음식과 낯선 환경 및 상황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보이며, "별나다"는 것은 부정적으로 적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신생아가 새로운 상황에 어렵게 적응할 때 부모들은 극도의 자신감을 잃고 무능력을 경험하게 되어 애착과정이 적응을 지연시키거나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2.2. 분만 직후 어머니의 신생아 접촉이 모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구는 분만 직후의 신생아 접촉이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건강한 모...
참고 자료
송경애 외(2022). 기본간호학1,2.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2112300007.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20). 여성건강간호학II, 수문사, p160-238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손희진(2013). 조기진통 임부의 조기진통스트레스, 태아애착과 모성역할자신감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최스미 외(2021). 알기 쉬운 핵심약리학. 수문사
미숙아,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158&cid=51007&categoryId=51007
미숙아,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 질환정보
https://www.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853
비타민케이1주사액,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803
유박스비유박스비프리필드주(B형간염백신), 네이버 지식백과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28097&cid=51000&categoryId=51000
아동간호학 총론, Marilyn J. Hokenberry, 현문사, 2022
An, D. H. (1999). Attachment of pregnant woman : scientific approach of traditional taegyo. Korea Taegyo Association, Symposium.
Lodermilk, D. L., Perry, S. E. (2003). Maternity nursing(6th ed). St. Louis: Mosby Company.
Sung, M. H., & Kim, M. K. (2005). A study of the effects of behavior contact in early mother-infant attachment. J o u r n a l o f K o r e a n A c a d e m y o f N u r s i n g , 3 5 (5), 842-849.
Sung, M. H & Choi, M.R & Um, O. B (2010). Effects of Early Contact on Maternal Infant Attachment.
Lee, S. M. (2003). The effect of nicu-informational education on the perception of their newborn and maternal attachment in the mothers of premature newborn.
이경혜 이영숙 외(2010), 여성건강간호학, 현문사
최연순 조희숙 외(2012)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김영혜 권봉숙 외(2012)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가슴의 대화 76회] 사랑수 탄생(강북삼성병원 산부인과 교수 이교원 님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