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문제 개요
1.1. 간호관리 실습 중 발견한 문제
간호관리 실습 중 발견한 문제는 "간호관리학실습 - 문제해결보고서 - 1단계: Find 문제 선정 및 배경"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첫째, 낙상주의 팻말이 부착되어 있는 환자들의 침상난간이 자주 내려져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둘째, 낙상고위험군 환자들이 보조인력이나 간호사의 도움 없이 움직이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셋째, 낙상 사정도구를 통해 낙상고위험군을 선별하지만, 환자에게 낙상 예방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 수 없었다.
또한, 침상에 낙상주의 팻말을 걸고, 낙상고위험군 팔찌를 환자에게 채워주는 일을 간호조무사 인력이 담당하는데, 낙상고위험군 환자의 낙상주의 표시와 팔찌를 착오로 제거하고, 뒤늦게 인지하여 다시 낙상주의를 표시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한 내용은 간호조무사와 간호사가 교류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2. 문제의 배경 및 특성
간호관리 실습 중 발견한 문제는 응급실 내 낙상 위험이 높은 환경과 낙상예방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인식 부족이었다. 응급실은 고령 환자가 많고 보호자 부재로 인해 낙상에 취약한 공간이다. 실제로 응급실 내 침상난간이 내려져 있거나 환자가 위험한 상태로 움직이는 등의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응급실 내 낙상 예방 교육이 부족하여 환자와 간호사 모두 낙상예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분기 낙상 발생률이 전년도 수준을 유지하는 등 낙상 문제가 개선되지 않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2. 문제 분석
2.1. 원인 및 영향요인 분석
응급실 내 낙상 발생의 주요 원인 및 영향요인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급실 내원 환자의 상태와 특성이 낙상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응급실을 방문하는 환자들은 노령, 질병, 장애 등으로 인해 거동이 불편한 경우가 많아 낙상의 위험이 높다. 실제로 지난 1분기 낙상 발생 환자의 대다수가 70대 이상 고령 환자이며, 이들은 운동 능력의 저하로 인해 더욱 낙상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다.둘째, 응급실의 환경적 특성이 낙상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응급실은 복잡하고 바쁜 환경으로 인해 환자 관찰과 관리가 어려운 편이다. 또한 격리실과 침상이 메인스테이션에서 잘 보이지 않아 환자의 거동을 면밀히 관찰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있다.""이다.
2.2. 관련 조직 역량 및 환경요인 파악
관련 조직 역량 및 환경요인 파악은 다음과 같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경우 간호사, 간호조무사 또는 그 외의 보조인력 등 환자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한 병동 인력이 일반 병동에 비해 많아 낙상 예방에 유리한 환경이다. 또한 병동 끝의 병실까지 관찰 가능한 서브 스테이션이 병동 복도에 4개가 위치하여 병동 전체를 면밀히 관찰할 수 있다. 병원 차원에서도 전문성 강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