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다문화 가족 현황 및 문제점
2.1. 다문화 가족의 개념과 특성
2.2.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족 현황
2.3. 다문화 가족의 주요 문제점
3. 다문화 가족의 사회복지 실천적 대안
3.1. 다문화 가족 이주여성의 가족관계 스트레스 관리
3.2. 다문화 가족의 가정폭력 예방 및 대응
3.3. 다문화 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지 강화
4. 다문화 가족의 정책적 대안
4.1. 다문화 가정 청소년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지원
4.2. 다문화 가정 부부갈등 해결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4.3. 다문화 가족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지원 강화
4.4. 국제결혼 중개과정의 인권보호 강화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다문화는 다양한 문화와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한 지역 또는 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 사회에서 다문화 현상은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화와 이민의 증가 등으로 인한 결과이다. 다문화 사회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와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기 때문에 상호 이해와 존중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 다문화 교육은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한 교육이다. 다문화 교육의 목적은 다양한 문화와 가치관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뿐만 아니라, 다문화 사회에서 서로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며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다문화 교육은 인종차별, 혐오, 선입견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평화로운 다문화 사회를 구성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다문화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교육자의 부재나 교육 시스템의 한계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 당국과 교육자들이 다문화 교육에 더 많은 자원과 시간을 투자하고, 교육자들이 더욱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갖추도록 지원해야 한다.
2. 다문화 가족 현황 및 문제점
2.1. 다문화 가족의 개념과 특성
다문화 가족이란 국제결혼을 통해 결합한 가정, 서로 다른 종족 간에 이루어지는 가족공동체, 국내거주 국제결혼가정, 이주노동자가정, 새터민 가정을 포함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가정 또는 가족을 말한다. 국제결혼은 저출산, 고령화, 전통적 남아선호사상에서 비롯된 남녀성비 불균형으로 인해 미혼남성이 늘어나고 국내에서 배우자를 찾지 못한 남성들이 국제결혼을 선택하면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체류외국인 현황은 전체 인구 대비 2016년 3.96%에서 2020년 3.93%로 증가하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감소하였으며, 국적별로는 중국을 포함한 중국인이 44%, 베트남 10.4%, 태국 8.9%, 미국 7.2% 순이다. 국적별 결혼이주민 여성의 현황은 베트남(38.2%), 중국(22.1%), 태국(9.4%)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족은 문화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어 가족 간의 이해와 소통, 적응 등의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2.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족 현황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족 현황이다. 2020년 말 기준 결혼이민자는 168,594명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하였다. 울산광역시는 산업도시로서 남성의 성별 분포도가 여성보다 높으며 산업화로 인해 여성의 결혼기피 현상과 맞물려 결혼을 못하는 노총각이 늘어나면서 국제결혼대행업체를 찾는 남성이 많아졌다. 주로 저개발국가나 동남아시아 쪽 여성들과의 국제결혼 율이 높아졌고 결혼이주민 여성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2015년 346명에서 2019년 412명으로 한국인 남편과 결혼한 외국인 아내 혼인건수가 증가하였고, 한국인 아내와 결혼한 외국인 남편 혼인건수도 2015년 89명에서 2019년 107명으로 증가하였다. 울산광역시 다문화가구(2019)는 총6,867가구이고 결혼이민자는 3,484명이다. 국적별 외국인 현황(2019)은 중국 7,708명, 베트남 3,908명, 필리핀 1,121명, 인도네시아 669명, 태국 378명, 일본 281명 순으로 나타났다.
2.3. 다문화 가족의 주요 문제점
다문화가족을 범주화 시켜서 불우할 것이라는 고정관념화가 부정적인 태도와 배제와 차별로 이어지는 편견을 가져왔다. 또한 다문화가 동남 아시아계 결혼이민자의 가족을 비하하는 수식어로 변질 되었다. 사회화 자민족 중심주의는 편견과 차별이 구조화 되면서 ...
참고 자료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 자료
여성가족부
00남구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00광역시 통계간행물 통계연보
손은영(2020).강원도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가족관계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오혜정(2020).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다문화가족 정책개선 연구, 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대학원
정용균(2020).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의 분쟁해결방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베트남·캄보디아 출신여성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8권 제2호 (2020년 2월),p.127-138
박애란, 정미희, 김정애, 체첵델게르(2018).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인권복지연구, 제20호,77~111쪽, 전체 35쪽
위인백(2011).인권과 사회통합관점에서 본 여성결혼이민자 관련법, 한국콘텐츠학회, 2011,vol,11, no.5,pp.317-327(11pages)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시민권과 사회통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vol.7,no12, 통권38호pp.459-467(9pages),예술인문 사회융합 멀티미디어 논문 , 목원대학교
이민·다문화 학생을 위한 학교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방향 - 사회 통합 프로그램 분석을 기초로 하여, 한국윤리학회,2013,vol.1,no90,pp.227-256(30pages) 윤리연구, 동국대학교
다문화 교육 교재
다문화주의와 다문화 미술교육/도화영/동국대학교/2008
다문화 교육 연구/한국 다문화 교육학회/ISSN/2005-4963
다문화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