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원 입사 후 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선택영역에서의 좋은 리더 사례
1.1. 미국 (김00 간호사)
1.1.1. 기본 정보
1.1.2. 해외간호사 꿈꾸게 된 계기
1.1.3. 해외 간호사 준비과정
1.1.4. 미국간호사와 한국간호사 비교
1.2. 호주 (정00 간호사)
1.2.1. 기본 정보
1.2.2. 해외간호사 꿈꾸게 된 계기
1.2.3. 해외 간호사 준비과정
1.2.4. 호주 간호사
1.3. 뉴질랜드 (조00 간호사)
1.3.1. 기본 정보
1.3.2. 해외 간호사 준비과정
1.3.3. 뉴질랜드 간호사
1.4. 캐나다 (박00 간호사)
1.4.1. 기본 정보
1.4.2. 해외 간호사 준비과정
1.4.3. 캐나다 간호사
2. 선택영역에서의 롤모델 선정 및 경력개발과정 조사
2.1. 롤모델 선정: '김00' 미국간호사
2.2. 경력개발과정
3. 선택영역에서의 경력개발계획 제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선택영역에서의 좋은 리더 사례
1.1. 미국 (김00 간호사)
1.1.1. 기본 정보
'김00 간호사는 2005년 제주한라대학교 간호과를 졸업하고,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병동과 수술실 SA(수술실 보조 간호사)로 근무하였다. 이후 2013년 뉴욕 프레스비테리안 병원에 입사하였고, 현재는 마운트 사이나이 베스 이스라엘 암센터에서 항암제 처방 전문가로 근무하고 있다."
1.1.2. 해외간호사 꿈꾸게 된 계기
제주에서 나고 자란 김리연 간호사는 항상 더 넓은 세계에 대한 갈망이 있었다"고 토로했다. 영어를 쓸 수 있는 해외에서 살고 싶다는 바람이 있었던 그녀는 부모님의 권유로 간호대학에 진학했다. 3년제 전문대학에서 2년간의 공부 끝에 호주 간호대에 편입하여 2년을 더 공부한 뒤 호주 간호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그리고 호주 간호사로 취업하였지만, 결국 뉴욕 간호사라는 꿈을 포기하지 않고 미국으로 가기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고 한다. 이처럼 김리연 간호사의 해외간호사에 대한 꿈은 어려서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간호사 면허 취득 후에도 지속적으로 미국 간호사가 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1.3. 해외 간호사 준비과정
김리연 간호사의 해외 간호사 준비과정은 다음과 같다.
간호학생 시절부터 영어 공부를 체계적으로 시작했다. 1학년 때부터 대학 부설 어학 프로그램과 어학원 등에서 꾸준히 영어를 공부하였다. 또한 1학년 여름방학에 호주 어학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영어 실력을 높였으나, 호주의 전원적인 분위기보다는 시티라이프를 추구하고자 관심을 미국으로 돌렸다. 3학년 때는 학교에서 진행한 미국 뉴욕 간호사 강연에 참여하여 강연자와 지속적으로 연락하며 정보를 얻었다. 그리고 3학년 때 삼성서울병원에서 2주간 임상실습을 하면서 심혈관외과 준중환자실과 정형외과를 경험하였다. 이와 더불어 토익 공부에도 힘썼다.
한국간호사로 일하면서도 미국 간호사 면허 준비에 힘썼다. 입사 후 3개월부터 2년 동안 삼성서울병원에서 근무하면서 미국 간호사 면허를 위한 학원 수강, 각종 강의 및 설명회 참여, 전화영어 프로그램 등을 병행하였다. 또한 제2외국어로 일본어 공부를 하였고, 영어회화 동호회 활동, 서울글로벌센터 봉사활동, 서울국제유학생포럼(SISF) 참여 등을 통해 영어 실력 향상에 힘썼다. 이와 더불어 미국 학사 학위(RN to BSN) 시험에 도전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였다.
결국 뉴욕으로 이민을 가서 계속 구직 활동을 하다가 에이전시와 연결되어 마운트 사이나이 베스 이스라엘 병원의 오픈하우스 인터뷰에 참가하여 합격하게 되었다.
1.1.4. 미국간호사와 한국간호사 비교
미국간호사와 한국간호사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미국간호사는 효율적인 업무 분위기를 자랑한다. 미국 병원에서는 칼 출퇴근 문화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 근무나 주말 근무를 할 경우 시급의 약 1.5배를 지급받는다. 또한 다른 날 일찍 퇴근할 수 있어 업무의 효율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반면 한국간호사의 경우 불합리한 강요와 불필요한 소모가 만연한 직장 문화가 지적되고 있다.
의사와의 관계에서 차이도 두드러진다. 미국 병원에서는 간호사와 의사가 동등한 관계를 유지하며, 간호사도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다. 상호 존중하며 협동하는 분위기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의사에 대한 권위적인 태도가 존재하며, 간호사의 의견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다. 미국에서는 개인정보를 묻지 않고 개인의 의사를 존중하는 문화인 반면, 한국에서는 개인정보가 잘 보호되지 않는 편이다.
종합해보면, 미국 병원에서는 간호사의 전문성과 권리가 보장되는 반면 한국 병원에서는 간호사가 의사에 비해 열등한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간호사 개인의 만족도와 의료 서비스 질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2. 호주 (정00 간호사)
1.2.1. 기본 정보
정00 간호사는...
참고 자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cutehare18
SNS : https://www.instagram.com/jadore_nyc/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jadorenyc
블로그 : http://blog.naver.com/sprn
유튜브 ‘간호하는 채널Joy’ 운영자
SNS : Nursejoykorea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NurseJoyKorea/featured
유튜브 ‘Nurse SoHyun’ 운영자
SNS : https://blog.naver.com/sosh1727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NurseJoyKorea/featured
경력개발제도(CDP) 운영매뉴얼,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3Bjsessionid=qgQZpkEjG4cVyjJC0N2i5hmm.node50?bbsId=BBSMSTR_000000000015&nttId=39742#none (행정안전부>정책자료>참고자료)
간호사 임상경력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박성희 외 2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2권 제4호, 2006년 12월
한영희, 「중소병원의 간호사 임상경력제도 개발」,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2015), 6-8p
최대호, 『미국간호사 취업이민 가이드』, 너스커넥트.
https://m.blog.naver.com/sunshinehc11/222051481339
https://kpnursing.org/_HI/professionaldevelopment/docs/Level%20IV%20+%20V%20Application.pdf
https://christianacare.org/forhealthprofessionals/nursing-professional-development/
https://blog.naver.com/gemini1250/220830038120
전북대학교 간호학과 홈페이지
간호사라서 다행이야 도서
이 완(2006), 「-조직목표 달성을 위한- 병원 인적자원관리 개선방향」, 대한병원협회, page 73-83
김광점(2012), 「병원 내 간호사 인적자원관리시스템 : 과제와 연구방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page 247-258
서문경애 외(2018), 「핵심간호관리학」,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