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원봉사 경험 및 관심 분야 선정을 통한 활동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원봉사 경험 및 관심 분야 선정을 통한 활동 분석
1.1. 자신이 경험하거나 관심을 두고 있는 자원봉사활동 선정
1.2. 청소년 자원봉사관리
1.2.1. 자원봉사관리
1.2.2. 청소년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중요성
1.2.3. 청소년 자원봉사관리에서 고려할 사항
2. 시민사회와 자원활동의 관련성 및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변화와 가치
2.1. 시민사회와 자원활동의 관련성
2.2.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변화
2.3.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민주시민적 가치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원봉사 경험 및 관심 분야 선정을 통한 활동 분석
1.1. 자신이 경험하거나 관심을 두고 있는 자원봉사활동 선정
자신이 경험하거나 관심을 두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은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다. 우리나라는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이 적은 편인데 이러한 원인 중 하나는 청소년기 적절한 봉사활동 참여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청소년기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에서 요구하기 때문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자원봉사활동이 지속된다면 청소년은 자원봉사활동은 스펙을 쌓기 위한 용도로만 생각할 것이며 이에 따라 성인기에도 자원봉사활동을 참여해야 하는 동기는 직업을 위한 용도로 밖에 나타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청소년기 자원봉사활동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를 위해서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자원봉사관리는 자원봉사프로그램 개발, 업무설계와 업무설명서, 자원봉사자 모집, 자원봉사자 선발, 면접배치, 자원봉사자 교육 및 훈련, 사후관리, 인정과 보상, 평가 등으로 구분된다.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은 1995년 5월 31일 교육개혁을 계기로 제도화되었다. 이후 학교생활에서 중요 영역으로 자리잡게 되었는데 학교 내외 자원봉사활동의 내용과 참가 시간을 종합생활기록부에 기재해서 관리하는 것이 의무화되었고 상급학교 진학에 반영하도록 하는 등 자원봉사활동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면서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참가자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양적 증가에도 청소년자원봉사자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의무화는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지역사회에서 실천한다는 취지를 가지고 이루어졌는데 이는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시민참여의 좋은 모델을 체험하고 시민의식을 기반으로 한 행위를 자연스럽게 배우고자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자원봉사활동은 일회성이 아닌 지속성, 지속의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봉사활동 시간을 채우기 위한 의무감으로 참여한 청소년들이 자원봉사관리자의 교육, 지지를 통해서 자원봉사활동에 대해 지속의사가 형성되면 이는 자원봉사활동이 발전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적이게 체계적으로 자원봉사자를 관리할 수 있는 자원봉사관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원봉사활동기관에서는 각 기관에 맞춰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에 대한 평가인증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청소년들이 자원봉사에 대해 소진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일손 돕기와 관련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 또는 보람을 높일 수 있도록 재능을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평가는 민감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봉사관리자는 지원 및 청소년 자원봉사자 개개인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협조를 전제로 해야 하며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와의 연계를 통해 학교 차원에서 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사전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관련된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들의 적성, 진로를 고려해서 그룹핑, 봉사 분야의 개척 및 알선, 영상자료 또는 토론 등 자원봉사 전반에 관련된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참고 자료
이선미(2016). 시민성 관점에서 본 자원활동: 새로운 유형과 관점. NGO연구.
진재문(2017). 자원봉사와 시민의 삶. 학지사.
주성수(2017). 복지국가와 복지정책. 한양대학교출판부.
문영희, 오세영, 국윤경(2018). 청소년 자원봉사활동과 사회복지사의 자원봉사관리경험을 통해 본 자원봉사관리체계. 인문사회과학연구.
대구광역시(2018). 대구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방안. 대구자원봉사포럼.
이해주, 관삼근, 최윤진(2019). 자원봉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선한사마리아원 사회복지 자원봉사 관리규정, 2021, 사회복지법인선한사마리아원
자원봉사와 시민사회, https://www.igimpo.com
세계자원봉사 선언문, 2001, 세계자원봉사협의회
한국자원봉사협의회, http://www.vkoreaedu.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