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지역보건법 제1조에 명시된 바와 같이 보건소 등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사항과 보건의료 관련기관·단체와의 연계·협력을 통하여 지역보건의료기관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지역보건의료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지역주민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보건소는 지역사회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 주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마산보건소 또한 이러한 목적과 역할 하에 지역 주민들의 건강 관리와 증진을 위해 다양한 보건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2. 마산보건소 개요
2.1. 보건소의 사업목적과 사업내용
[보건소의 사업목적과 사업내용]
보건소의 사업목적은 보건소 등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사항과 보건의료 관련기관·단체와의 연계·협력을 통하여 지역보건의료기관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지역보건의료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지역주민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보건소의 주요 사업내용은 건강친화적인 지역사회 여건의 조성, 지역보건 의료정책의 기획·조사·연구·평가, 보건의료인 및 보건의료기관 등에 대한 지도·관리·육성과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지도·관리, 보건의료 관련기관·단체·학교·직장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관리를 위한 각종 지역보건 의료서비스 제공 등이다. 이를 통해 보건소는 지역사회 내 보건의료 중심 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2.2. 마산 보건소 연혁
마산 보건소는 1950년 4월 1일 설립되었다. 1962년 4월 15일에는 보건소의 기능과 역할이 강화되면서 시 직할 기관으로 승격되었다. 1980년 4월 1일 마산시가 창원시에 통합되면서 창원시 마산보건소로 개칭되었다.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창원시 직할에서 마산구청 직속 기관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2010년 7월 1일 창원시가 통합되면서 현재의 창원시 마산보건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마산 보건소는 그간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을 위한 다양한 보건 사업을 수행해왔으며, 창원시 마산 지역의 중심 보건의료기관으로 자리잡고 있다.
2.3. 마산 보건소의 조직 체계
마산 보건소는 보건행정과와 건강관리과 2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다. 보건행정과에는 보건행정 팀, 감염병관리 팀, 의약 팀이 있으며, 건강관리과에는 건강증진 팀, 모자보건 팀, 만성질환 팀, 치매관리 팀, 검진 팀, 정신보건 팀이 있다.
보건행정 팀은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 계획 수립, 예산편성 및 집행, 회계경리,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 관리 및 시설물 관리,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공인관리, 직원복무에 관한 사항, 공중보건의사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감염병관리 팀은 방역종합계획 수립, 급성 감염병 계획 수립, 감염병 역학조사 및 환자관리, 표본감시 의료기관 지정 및 관리, 소독업소 및 소독의무대상시설 관리, 비상방역근무, 신종감염병 및 생물테러 대비에 관한 사항 등을 담당한다. 의약 팀은 의료 및 약사법 관련 민원 업무, 마약류 관련 업무, 방사선안전관리 및 발생장치 신고 등을 담당한다.
건강증진 팀은 산후조리원 관련 업무,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사업, 유아구강보건 사업, 운동 및 비만 등 관리교실 운영, 건강생활실천 통합, 건강도시 관련 업무, 치과실운영, 노인의치 보철사업, 체력측정실 및 운동지도실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모자보건 팀은 난임부부 관련 지원사업, 영유아 건강검진 상담 및 시력검진, 임산부와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등을 담당한다.
만성질환 팀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사업,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사업, 한의약건강증진사업, 지역사회 건강조사,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을 담당한다. 치매관리 팀은 치매관리사업 및 치매안심센터 운영을 담당한다. 검진 팀은 HIV 감염인 관리사업, 국가결핵관리사업, 구직청년 무료건강검진, 병리검사실과 영상의학실 운영, 성병 및 에이즈 예방 사업, 가임기 여성 풍진검사, 외국인 근로자 및 소외계층 검진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정신보건 팀은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 아동청소년 정신보건사업, 기초정신건강심의위원회 개최, 심리평가 및 상담, 정신보건대상자 관리,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위탁운영, 정신보건시설 입원환자에 대한 계속입원 치료심사 등을 담당한다.
2.4. 마산 보건소의 업무 조직
마산 보건소의 업무 조직이다. 마산 보건소는 보건행정과와 건강관리과 2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다. 보건행정과 내에는 보건행정 팀, 감염병관리 팀, 의약 팀, 건강증진 팀, 모자보건 팀이 있다. 건강관리과 내에는 건강관리 팀, 만성질환 팀, 치매관리 팀, 검진 팀, 정신보건 팀이 있다.
보건행정 팀은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 계획 수립, 예산편성 및 집행, 회계경리,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 관리,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공인관리, 직원복무, 공중보건의사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감염병관리 팀은 방역종합계획 수립, 급성감염병 계획 수립, 감염병 역학조사 및 환자관리, 표본감시 의료기관 지정 및 관리, 소독업소 및 소독의무대상시설 관리, 비상방역근무, 신종감염병 및 생물테러 대비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의약 팀은 의료 및 약사법 관련 민원 업무, 마약류 양도·양수 승인신청, 마약류 취급자 취급업무 폐업 신고, 방사선안전관리 및 발생장치 신고, 마약류취급자의 지정 및 허가, 사고마약류 발생(폐기) 신청, 휴·폐업 신고 및 제정명 발급, 특수의료장비 신고 및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건강증진 팀은 산후조리원 관련 업무,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사업, 유아구강보건(교육, 불소겔도포) 사업, 운동 및 비만 등 관리교실 운영, 건강생활실천 통합, 건강도시 관련 업무, 치과실 운영, 노인의치 보철사업, 체력측정실 및 운동지도실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모자보건 팀은 난임부부 관련 지원사업, 영유아 건강검진 상담, 영유아 시력검진, 임산부·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건강관리과 내 건강관리 팀은 건강관리과 예산, 회계 업무, 예방접종실 운영,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부서 공인관리, 수수료 관리, 행정장비 및 물품 관리, 민원실 운영, 진료실·적성검사실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만성질환 팀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사업,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사업, 한의약건강증진사업, 지역사회 건강조사,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을 담당한다. 치매관리 팀은 치매관리사업 및 치매안심센터 운영을 담당한다. 검진 팀은 HIV 감염인 관리사업, 국가결핵관리사업, 구직청년 무료건강검진, 결핵관리실·병리검사실·영상의학실 운영, 성병 및 에이즈 예방사업, 가임기 여성 풍진검사, 외국인 근로자 및 소외계층 검진 업무를 담당한다. 정신보건 팀은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 아동청소년 정신보건사업, 기초정신건강심의위원회 개최, 심리평가 및 상담, 정신보건대상자 관리,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위탁운영, 정신보건시설 입원환자에 대한 계속입원 치료심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3. 마산보건소 관할 지역사회 사정
3.1. 지역특성
마산합포구와 마산회원구는 경상남도 창원시에 속한 지역으로, 마산자유무역지역과 중심적 공단이 위치한 경제중심지이다. 행정구역으로는 마산합포구에 4개의 면과 11개의 동, 마산회원구에 1개의 읍과 11개의 동이 존재한다. 마산합포구의 면적은 241.16㎢, 마산회원구의 면적은 90.58㎢이다. 주거형태는 세대당 주거인구가 마산합포구보다 마산회원구에서 많고, 한국인 주거인구는 마산합포구가 더 많지만 외국인(이주 노동자 포함) 주거인구는 마산회원구에서 더 많다. 여성거주 비율도 마산회원구가 마산합포구보다 높다. 이처럼 마산합포구와 마산회원구는 공단과 산업단지가 밀집된 경제중심지이자 다문화 거주 지역의 특성을 갖고 있다.
3.2. 인구특성
[인구특성]
총 인구수는 360,648명이며, 여성이 181,089명, 남성이 179,559명으로 여성이 더 많다. 마산합포구의 경우 총 인구수는 184,879명이고, 마산회원구의 경우 총 인구수는 180,611명이다. 마산합포구의 세대당 주거인구는 마산회원구보다 적지만, 한국인 주거인구와 외국인(이주 노동자 포함) 주거인구는 마산합포구가 더 많다. 마산회원구의 여성 거주 비율이 마산합포구보다 더 높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마산합포구의 경우 60세 이상 인구가 60,577명(32.8%), 마산회원구의 경우 60세 이상 인구가 52,383명(29.0%)으로 마산합포구가 노령화가 더 진행된 것으로 나타난다. 등록 외국인의 경우 마산회원구가 1,979명, 마산합포구가 2,057명으로 마산회원구의 외국인 주거인구가 더 많다. 출생아 수, 사망자 수, 혼인건수, 이혼건수 등 인구동태 통계 또한 마산합포구와 마산회원구에서 차이가 있다.
3.3. 건강특성
마산합포구와 마산회원구의 전반적인 건강수준은 전국 평균보다 양호한 편이다. 혈압수치 인지율은 전국 평균 61.6%보다 높은 71.9%이며, 혈당수치 인지율도 전국 평균 26.3%보다 높은 30.9%이다. 고혈압 진단 경험률은 전국 평균 20.0%보다 높은 26.7%이며, 고혈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