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페니실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페니실린의 기원
1.1. 페니실린의 발견
1.2. 페니실린의 상용화
2. 페니실린의 작용기작
2.1. 페니실린의 작용
2.2. 베타-락탐계 항생물질의 항균 작용의 분자 메커니즘
3. 페니실린의 효능과 부작용
3.1. 페니실린의 효과, 효능
3.2. 페니실린의 부작용 및 내성
4. 페니실린의 종류
4.1. 페니실린의 종류
4.2. 항생제의 종류
5. 항생제의 정의
5.1. 항생제의 정의
5.2. 베타-락탐계와 이에 속한 페니실린계에 대하여
5.3. 베타-락탐계의 작용 메커니즘
6. 결론
6.1.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의 중요성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페니실린의 기원
1.1. 페니실린의 발견
플레밍은 1881년 스코틀랜드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13세에 런던으로 가서 안과의원을 개원하고 있던 형의 집에서 폴리테크닉 공업학교를 졸업한 뒤 의학공부를 하기 위해 세인트 메리 의과대에 들어갔다. 플레밍은 미생물학자가 되었다.
플레밍은 페트리접시라는 특수한 배양접시에 미생물을 키우면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찾아내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이런 연구를 통해 눈물에서 추출한 라이소자임이라는 효소가 몇몇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1928년 여름 플레밍은 포도상구균을 기르던 접시를 배양기 밖에 둔 채로 휴가를 다녀왔다. 휴가에서 돌아온 플레밍은 페트리접시를 확인하던 중 푸른곰팡이가 페트리 접시 위에 자라있고 곰팡이 주변의 포도상구균이 깨끗하게 녹아있는 모습을 발견했다.
플레밍은 곰팡이가 포도상구균의 성장을 막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나중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푸른곰팡이의 대부분은 페니실린을 만들지 못하고 오직 페니실리움 노타툼(Penicillium notatum)만이 페니실린을 만든다. 플레밍은 문제의 곰팡이를 배양했다. 그리고 배양된 곰팡이를 새로운 액체 배지에 옮기고, 다시 1주일이 지난 뒤 배양액을 1,000분의 1까지 희석했는데도 포도상구균의 발육이 억제됐다.
이로써 곰팡이가 생산해 내는 어떤 물질이 강력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는 점이 확실해졌다. 그 곰팡이는 페니실리움(Penicillium)속에 속했으므로 그 이름을 따서 곰팡이가 만든 물질을 페니실린(penicillin)이라고 불렀다. 플레밍은 이듬해인 1929년 연구결과를 '영국 실험병리학회지'에 발표했다.
그러나 플레밍을 실망시키는 실험 결과들이 연이어 나오기 시작했다. 플레밍이 토끼의 혈액 속에서 페니실린의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그 효과가 30분도 지속되지 않았다. 또 동물 장기를 세균이 포함된 용기에 넣었다가 다시 페니실린 용액에 담그자 동물 장기 표면의 세균은 멸균됐으나 장기 내부의 세균은 남아 있었다. 플레밍은 페니실린이 조직 내부로 침투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그만 페니실린 연구를 포기할 생각까지 했다.
또한 페니실린 상용화에는 중요한 장애물이 있었다. 바로 페니실린을 약품으로 정제하는 것이었다. 곰팡이를 직접 인간에게 투입할 수는 없기 때문에 페니실린을 정제해야 하는데 플레밍에게 쉬운 일이 아니었다.
1.2. 페니실린의 상용화
플레밍의 페니실린 발견 이후, 이 새로운 항생제를 실질적으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옥스퍼드 대학의 병리학 교수였던 하워드 플로리와 생화학자 언스트 체인이 이 과정을 이끌었다.
플로리는 평소부터 플레밍의 라이소자임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체인과 함께 페니실린 연구에 착수하였다. 1939년 미국의 록펠러 재단으로부터 연구 지원금을 받아 페니실린 정제에 성공하였고, 동물 실험을 통해 강력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1941년에는 인체 대상 임상 실험에 돌입하여 페니실린이 각종 세균 감염증 치료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플로리와 체인의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대량 생산의 어려움으로 인해 페니실린은 여전히 임상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지 못하였다. 이때 미국의 제약 기업인 파이저가 나서서 대량 생산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943년부터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후 페니실린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군대에 공급되어 전상자들의 치료에 큰 도움을 주었고, 이를 계기로 민간에도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플레밍의 발견에서 시작된 페니실린이 플로리와 체인의 연구, 파이저의 대량 생산 기술 개발로 인해 실용화되면서, 수많은 전염병 환자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페니실린은 의학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2. 페니실린의 작용기작
2.1. 페니실린의 작용
페니실린은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자라지 못하게 함으로써 박테리아가 용균(lysis, 용균현상: 세포벽이 약하여 세포액이 밖으로 나와 박테리아가 죽는...
참고 자료
남두현, 『항생물질 이야기』, 「기적의 약이 기적을 파괴하고 있다」, (전파과학사, 1995), p.7.
http://ko.wikipedia.org/wiki/%EB%B2%A0%ED%83%80-%EB%9D%BD%ED%83%90
전홍기, 김선희, 『항생물질과 약제내성 메커니즘』,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0), p.135,
현대과학의 풍경 - 피터보울러, 이완 리스 모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