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친환경 건축물의 중요성
친환경 건축물의 중요성이다. 건축물은 세계 총 에너지 소비 및 온실 가스 방출의 30~40%를 차지하고 있어 건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국가 발전의 원동력인 에너지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서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환경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건물의 환경 성능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친환경 인증제도도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친환경 건축물의 확산은 단순히 건축물의 환경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환경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 환경기술 발달 및 연구활동 진흥의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1.2.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요
국내외에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중요한 정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건축물은 전 세계 에너지 및 자원 소비량의 40%,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0~40%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 저감과 환경부하 최소화를 위한 대안으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2년 1월부터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는 국토해양부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연구기관, 학계,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마련한 것으로,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 및 자원 절약, 오염물질 배출 감소, 쾌적성 등 환경성능을 평가하여 인증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친환경 건축물의 확산을 도모하고, 국민들의 환경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며, 환경기술 발달과 연구 활동을 진흥시키고자 한다. 현재 공동주택, 업무용 건축물, 복합건축물, 학교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인증기관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크레비즈인증원 등이 지정되어 인증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받은 건축물에 대해서는 환경개선비용 부담금 경감, 취득세 및 등록세 경감, 건축기준 완화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되어 친환경 건축물의 건설과 보급을 장려하고 있다. 향후 인증기준의 지속적인 개선과 보완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제도로 발전시켜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1.3.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친환경 건축물의 확산은 건축물의 에너지 및 자원 소비, 오염물질 배출 감소와 같은 직접적인 환경성능 향상 외에도 국민들의 환경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와 친환경 기술 발달을 통한 연구 진흥 등의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계획, 설계, 시공, 운영, 폐기 등 전 과정에 걸친 다양한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인증하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시행은 국내에서 매우 필요하다. 이를 통해 건물의 환경성능 향상을 유도하고 관련 기술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에너지 및 대기환경 부문의 기준이 취약하고 사업성 확보를 위한 경제적 지원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주요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본론
2.1.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배경
건축물의 경우 에너지 소비의 1/3, 자원소비의 40%, CO2배출의 50%, 폐기물배출의 20 ~ 50%를 차지하고, 철강 등 기초소재, 수도, 단열재 등 건축자재, 기계설비, 조경 등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분야이다.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문제와 관련하여 건물의 에너지 사용과 CO2 배출 저감 등 환경성 증진방안에 대한 논의가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