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피츠버그 수면측정도구(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사 및 서론
2. 피츠버그 수면측정도구(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2.1. 사례 보고서
2.2. 수면양상 및 질 평가
3. 간호사정
3.1. 건강력조사
3.2. 신체적 영역
3.3. 사회적·환경적 영역
3.4. 영적 영역
3.5. 검사 소견
3.6. 약물 투여 기록
4.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1. 어지럼증으로 인한 수면 자세 유지 불가와 관련된 불면증
4.2. 질병에 대한 지식 부족과 관련된 불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사 및 서론
피츠버그 수면측정도구(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는 노인 간호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는 수면 관련 평가 도구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사례 보고서를 바탕으로 피츠버그 수면측정도구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사례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수면양상 및 질 평가와 간호사정 영역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간호진단과 간호과정을 논의할 것이다. 본 보고서는 피츠버그 수면측정도구의 활용도와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노인 간호 실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2. 피츠버그 수면측정도구(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2.1. 사례 보고서
노인 이00씨는 한 달 전부터 있었던 어지러운 증상이 점점 심해져 오심과 구토까지 나타나 일상생활이 어려워져 병원을 찾게 되었다.
이00씨는 누워있어도 방이 빙빙 돌아가 어지러워 누워있지도 못했고, 눈을 뜨거나 감아도 어지러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버스에서 멀미하는 것 같고, 계단 청소 중 너무 어지러워 계단에서 넘어질 뻔했다고 한다.
이00씨는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양팔을 옆으로 뻗어 서 있어보았지만 1초도 버티지 못하고 뒤로 넘어지려고 하였다. 또한 귀에 '삐~~~'하는 이명이 자주 들렸고, 어지러움이 심해질수록 이명 발생 빈도도 증가했다.
평소에는 하루 7시간씩 잠을 잤지만, 어지러움이 심해진 이후부터는 하루 3시간 정도만 푹 자고 있어 몸이 피곤하고 예민해졌다고 호소했다. 이00씨는 젊을 때 다이어트를 하면서 있었던 빈혈과 유사한 증상이 더 심한 것 같아 걱정되며, 혹시 죽을병이나 수술이 필요한 병인지 궁금해 하고 있다.
또한 현재 복용 중인 갑상선기능항진증 약물이 많아 간에 좋지 않을 것 같다며, 새로운 약을 먹게 되면 간에 더 안 좋을 것 같다는 우려를 표현했다. 이00씨는 가족에게 자신의 병을 알리기를 꺼려하고 있다.
2.2. 수면양상 및 질 평가
지난 한 달 동안 대상자 이00씨의 수면 양상과 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00씨는 원래 하루 7~8시간 정도 편안한 수면을 취해왔으나, 최근 어지러움 증상이 심해지면서 수면의 질이 저하되었다. 이00씨는 누워있어도 방이 빙빙 도는 듯한 심한 어지러움을 호소하여 실제로 누워서 잠들기 어려워하며, 하루 3시간도 푹 자지 못한다고 하였다. 수면 중 깨어나는 경우도 잦아 전반적인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편이다. 심한 어지러움으로 인해 입면 시간도 매우 길어졌으며, 실제로 잠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수면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00씨는 피로감이 누적되어 예민해졌다고 호소하였다. 또한 이00씨는 자신의 수면 문제가 이전 다이어트 경험으로 인한 빈혈과 유사한 것...
참고 자료
양성자세현훈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성인간호학1 김금순, 김영숙 외 3명 저 | 수문사 | 2012.02.27.
단기 이완반응 명상요법이 정신과 입원환자의 수면 문제 개선에 미치는 효과, 윤대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06
NANDA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CLASSIFICATION 2012-2014 Edited by T.Heather Herdman, phD,